박대통령 "북한, 안보리결의 위반 도발행위시 확실한 대가 치를것" 경고

입력 2015-09-25 14:31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북한의 4차 핵실험 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가능성과 관련해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위배되는 도발행위를 강행한다면 확실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70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한 출국에 앞서 청와대에서 가진 미국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한국 정부는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언급은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10월10일)에 앞서 북한이 4차 핵실험 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추가도발에 나설 경우 더욱 엄정한 제재에 나설 것임을 강력히 경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만약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는 결정을 한다면 국제사회와 협조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며 북한의 핵무력·경제건설 병진노선 포기를 거듭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레버리지(영향력)를 행사해 달라고 요청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북한은 한국 안보에 대한 위협이자 한반도 통일 달성을 위한 잠재적 동반자”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통신은 “박 대통령의 대북 경고는 북측의 위협적 수사 수위가 높아진 데 대한 대응에서 나온 것”이라며 “전 세계 지도자들이 모이는 유엔 총회에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한편 비핵화 회담에 복귀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돌파구를 모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대통령은 10월말 또는 11월초 개최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선 “3국 정상이 북핵을 비롯한 주요 현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북핵 대응의 공통분모를 확대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해진 일본의 안보법안 통과와 관련해선 “일본 정부는 최근 통과된 방위안보법률과 관련된 일본 국내외의 우려를 충분히 감안해야 할 것”이라며 “이 법안이 확대해석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오후 유엔 개발정상회의 및 제70차 총회 참석을 위해 출국했다. 박 대통령이 유엔총회에 참석한 것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박 대통령은 유엔총회 및 개발정상회의 연설, 각종 다자회의 참석 일정을 마무리한 뒤 오는 30일 오전 귀국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