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라이머리 안된다고 결정하면 새 길 찾아야” 與, 추석 직후 선거구 공천룰 의총

입력 2015-09-23 15:16

새누리당이 내년 4월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및 공천제도 등과 관련한 의원총회를 추석연휴 직후인 오는 30일 개최한다.

명절 기간 지역구로 흩어져 '바닥 민심'을 청취한 의원들이 선거구 획정,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등에 대한 격론을 벌이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고위 당직자는 23일 "추석이 지나고 의원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가 필요할 것 같다"며 "선거구나 선거제도(공천제도) 등 다뤄야 할 이슈가 많다"고 밝혔다.

이번 의총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상황 보고 및 토의'라는 주제에 따라 정개특위가 마련 중인 선거구 획정안이 우선적으로 다뤄진다.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선 지역구를 현행 246개에서 244∼249개 범위 내로 조정하자는 선거구획정위원회의 획정안을 놓고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된 지역구 의원을 중심으로 강한 반발 기류가 흐른다.

여기에 농어촌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 54석인 비례대표 정원을 최대 13석 줄여야 한다는 의견, 지역구 간 인구 편차(2대 1 이내) 기준에서 예외로 두는 특별선거구를 도입하자는 주장까지 분출하는 상황이다.

정개특위는 애초 이날 오후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속개해 선거구 획정 기준과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배분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새누리당이 의총에서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키로 함에 따라 취소됐다.

의총에선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한 오픈프라이머리 등 공천제도도 의제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당내에선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의총 등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 노선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일각에선 여야가 함께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하는 게 어려워진 만큼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원내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공천제도를 논의하는 의총을 한번 해야 할 것"이라며 "의총을 통해 공천제도 관련 기구를 만들자고 하든지, 의총에서 새로운 방법을 찾자고 하든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원유철 원내대표는 지난 18일 "국민의 뜻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기초로 해서 새로운 '제3의 길'을 모색해야 할 때가 왔다"고 제안한 바 있다.

다만, 김무성 대표가 아직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원칙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가운데 여야 지도부의 담판이 시도될 가능성도 거론되는 만큼 의총에서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날지는 미지수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오픈프라이머리가) 안 된다고 결정됐을 때는 당연히 당 의원들하고 최고위원회에서 상의해 또 새로운 길을 찾아야 한다"면서도 "그런데 아직 그 단계는 아니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