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명 중 1명이 걸리는 축농증(만성 부비동염), 그 중 콧속 물혹은 숨쉬기가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에 불편하고, 잘 낫지 않는 ‘나쁜 병’이다. 이를 획기적으로 치료하는 새 치료 약물이 국내 의료진에 개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신현우(사진 왼쪽) 교수가 서울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대우(오른쪽) 교수와 함께 코 상피세포에서 ‘SIRT1’ 단백질이 사라지면 콧속에 물혹이 생기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SIRT1’은 축농증 발생시 코 상피세포의 염증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이는 SIRT1 단백질을 활성화시켜주면 물혹을 없앨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 실험결과 SIRT1 단백질을 활성화시켜주는 약물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투여하자 물혹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신 교수팀은 밝혔다.
신 교수팀은 레스베라트롤을 콧속에 뿌려주기만 해도 약효가 발휘되므로 사용하기에도 편하다고 덧붙였다.
신 교수팀은 먼저 정상인 8명(A그룹)과 콧속 물혹이 없는 부비동염 환자 12명(B그룹), 콧속 물혹이 있는 부비동염 환자 21명(C그룹)을 대상으로 콧속 상피세포에서 SIRT1 단백질이 얼마나 발현되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콧속 상피세포 100개 중 SIRT1 발현 세포가 A그룹은 20개, B그룹은 45개, C그룹은 20개 미만으로 나타났다. 즉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중 하나인 SIRT1은 단순 축농증에서는 증가하여 과도한 염증을 막아주지만, SIRT1이 없어지면 콧속 물혹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콧속 물혹 동물모델을 통해 SIRT1이 과발현된 유전자변형(Transgenic) 생쥐에서는 물혹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물혹이 많은 생쥐에 SIRT1을 활성화시켜주는 레스베라트롤을 콧속으로 투여했더니, 물혹이 8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심한 축농증 환자에서는 코 점막이 붓고 콧물이 많아지면서 코 상피세포가 외부 공기와 차단되어 저산소 상태가 되기 쉽다. 이 경우 상피세포는 ‘HIF-1’라는 단백질을 증가시켜 저산소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신 투여가 아닌 콧속을 통한 약물 투여만으로 물혹의 감소 효과를 보았다는 점에서 향후 전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치료법의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알레르기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알러지 앤드 클리니컬 이뮤놀로지’(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서울대병원 신현우 교수팀 콧속 물혹 생성 원인 규명 약물치료 길 열어
입력 2015-09-23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