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정규직이던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에선 22.1%만 정규직에 취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문유경 선임연구위원은 2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5 여성정책연구원 패널조사 학술심포지엄’에서 경력단절여성 1873명을 7년간 추적한 결과를 발표했다. 2007년 1차 여성가족패널 조사에서 결혼·출산·육아·가사 때문에 일을 그만둔 것으로 파악된 15~54세 여성의 이후 취업 여부와 일자리 성격 등을 그간 실시된 4차례 패널조사(2008·2010·2012·2014년)에 근거해 분석한 보고서다.
경력단절 이전 정규직으로 일했던 539명 중 재취업에서 정규직으로 고용된 사람은 119명(22.1%)에 불과했다. 비정규직 일자리를 구한 사람이 316명(58.6%)으로 훨씬 더 많았다. 비임금 근로자로 취업한 경우도 104명(19.3%)이나 됐다.
경력단절 이전 비정규직이던 123명 가운데 70.7%(87명)는 다시 비정규직 일자리에 취업했다. 정규직에 취업한 사람은 16명(13.0%)뿐이었다.
일자리의 성격도 경력단절 이전과 이후 크게 달라졌다. 과거 사무직 종사자였던 270명 중 다시 사무직이나 전문직으로 돌아간 비율은 49.6%로 절반이 안 됐다. 50명(18.5%)은 판매종사자, 42명(15.6%)은 서비스종사자, 29명(10.7%)은 단순 노무종사자로 재취업했다.
재취업 때 정규직이 될 가능성은 나이가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더 컸다. 20대의 46.4%, 30대의 22.8%, 40대의 16.1%, 50대의 11.7%가 정규직으로 재취업했다. 학력별로는 대졸의 26.5%, 고졸의 16.7%가 정규직 일자리를 구했다. 자녀가 2명 이상일 경우 정규직으로 재취업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난 것도 눈에 띈다. 추가 출산 가능성이 낮을 때 구직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문 연구위원은 “구직 경로를 보면 민간취업기관을 통할 경우 정규직 확률이 더 높았다”며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 공공 취업기관에서 고학력 여성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정규직이던 경단녀 재취업에선 22.1%만 정규직
입력 2015-09-23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