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과서 한자교육 결론 내년 말로 미뤄…병기 대신 각주 형식될 듯

입력 2015-09-22 16:00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수업 모습. 국민일보 자료사진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 논란이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가 결정 시한을 내년 말로 미뤘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초등학교 한자교육과 관련 “적정 한자 수 및 표기방법 등 구체적인 방안은 정책연구를 통해 2016년 말까지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정 교육과정 고시와 함께 발표될 것으로 예상됐던 한자 병기 방침이 사실상 1년 뒤로 연기된 셈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9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을 발표할 당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를 병기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내용을 넣었다.

당초 올해 9월까지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했던 교육부가 결론을 미룬 것은 반대하는 여론이 그만큼 컸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한글관련 시민단체는 한자 병기가 사교육을 부추기고 학습부담을 가중한다며 반발해왔다.

지난달 24일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위원장 김경자)가 개최한 한자교육 공청회에서는 찬반 양측이 고성을 지르고 몸싸움까지 하는 파행을 빚었다.

김재춘 교육부 차관은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브리핑에서 “교과서 날개 단이나 바닥(주석), 단원 끝에 학생들이 단어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자를 설명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본문에 한글과 한자를 나란히 병기하지 않고 한자를 교과서 각주나 날개 단에 표기해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한글단체 등은 각주나 날개 단에 한자를 표기하는 방식도 반대하고 있어 논란의 재발 가능성은 여전한 상태다.

김 차관은 초등학교의 적정 한자 수와 관련해선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기본적인 한자, 예를 들면 300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