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법무부도 폭스바겐 수사 후폭풍 심각

입력 2015-09-22 16:31
폭스바겐 홈페이지 캡처

미국서 판매되는 디젤차량에 배기가스 배출량을 속이는 장치를 의도적으로 설치한 독일 자동차메이커 폭스바겐 그룹이 심각한 후폭풍에 휩싸였다. 유럽의 다른 자동차업체에도 불똥이 튈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배출가스 눈속임’을 이유로 폭스바겐에 48만대의 디젤차량에 대한 회수(리콜) 명령을 내린 데 이어 미 법무부가 이번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이는 폭스바겐 그룹의 행위가 범죄에 해당하는 지를 가리겠다는 것이어서 경영진 기소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면서 폭스바겐과 미국 EPA와 접촉 중이라고 밝혔다. 독일 정부도 폭스바겐의 디젤 차량 전량에 대한 광범위한 특별 조사를 지시했다. 알렉산더 도브린트 독일 교통부장관은 21일 “독립적인 전문가들이 폭스바겐의 모든 디젤 차량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조사에 즉각 나서도록 연방자동차청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 영향으로 2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에서 폭스바겐 주가는 19%나 폭락했다. 마르틴 빈테코른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가 “끼친 손해를 복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긴급 대응에 나섰지만 이번 사건의 기업 윤리적 파장을 감안할 때 책임을 지고 퇴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폭스바겐은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문제점을 제기하는 EPA의 주장을 1년 이상 반박하다 이달 초 “의도적으로 속여 왔다”고 시인했다.

배병우 선임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