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의 일교차가 10도 안팎까지 벌어지면 평상시보다 사망률이 최대 2.6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팀은 아시아 4개국(한국·중국·일본·대만) 30개 도시의 1979~2010년 사망·기상 자료를 이용해 일교차와 사망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4개국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결과는 대기환경 분야 국제학술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신호에 실렸다.
4개국 30개 도시의 일교차 대비 사망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에서 일교차가 1도 증가할 때마다 30개 도시의 총사망률과 순환기계질환 사망률, 호흡기계질환 사망률은 각각 0.58%, 0.81%, 0.90%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치를 가을 날씨에 해당하는 10도 안팎의 일교차로 계산하면 총사망률이 5.8%로, 순환기계질환 사망률은 8.1%로, 호흡기계질환 사망률은 9.7%로 각각 크게 높아지는 셈이다.
특히 큰 폭의 일교차는 호흡기계질환 사망률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 일교차가 1도 증가할 때마다 호흡기계질환으로 인한 사망 증가율이 30개 비교대상 도시 중 가장 높은 2.84%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이런 증가율을 바탕으로 일교차가 10도일 때를 가정하면 평상시 일교차를 5도로 봤을 때보다 인천에서만 호흡기계질환 사망자가 2.6배 증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교차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은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더 컸다. 또 30개 비교 도시 중 동쪽으로 갈수록, 일교차가 큰 지역일수록 일교차가 총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김호 교수는 “일교차가 커질수록 심박동과 혈압은 물론 면역력과 구강의 염증상태, 호흡기 등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한다”며 “급격한 외부 기온의 변화가 체내 면역 메커니즘에도 여러 측면에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운동에도 주의하고,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과음이나 흡연을 삼가야 한다. 특히 만성질환이 있거나 노인이라면 외출이나 개인위생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일교차 10도면 평상시 사망률의 2.6배…"환절기 건강 조심하세요"
입력 2015-09-22 0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