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비례대표 축소불가' 당론과 관련, 지도부 내에서까지 이견이 드러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지역구가 대거 통폐합될 형편에 처한 농어촌 지역구 의원들이 비례대표 의석수를 축소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는 데 이어 지도부로 논란이 확산된 것이다.
또다른 당론으로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도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선거제도를 둘러싼 당내 이견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21일 새정치연합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최근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총선 지역구 수를 244~249개 범위로 결정한 것을 계기로 농어촌 지역구 축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집중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여야가 이미 합의한 전체 국회의원 수 300명은 그대로 두되, 지역구 의석수를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자는 방안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윤석 조직본부장은 "오늘 회의에서 비례대표를 줄이자는 것이 반개혁적으로 몰리는 것은 좀 그렇다는 이야기를 모든 최고위원들이 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종걸 원내대표, 오영식 전병헌 주승용 유승희 최고위원 등이 참석했다.
특히 호남을 지역구로 둔 이 본부장을 비롯해 주 최고위원, 김영록 수석대변인에다 전병헌 최고위원도 이에 대한 토론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농어촌 지역구가 대폭 줄어들어 충격이 크니까 문제"라면서 대책 마련에 나설 뜻임을 시사했다.
농어촌 지역구 의원들에 이어 지도부에서도 이 같은 주장이 나오는 것은 선거구획정위가 지역구 수를 최대 249개로 결정한 것으로는 농어촌 지역구 축소 문제를 해결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문재인 대표와 정치개혁특위는 아직 입장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문 대표도 그런 주장을 접하긴 했지만 아직 입장 변화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개특위 야당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비례대표 의석수 축소 주장에 대해 성명을 내고 "새누리당이 비례대표를 대폭 축소해 지역구를 지키고자 한다면 헌법이 보장하는 비례대표제를 껍데기만 남기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통화에서 "당내 개인 의견에 대한 성명은 아니다"라면서도 "의원정수 자체를 늘릴 용기가 없다면 선거구 이야기를 자꾸 하는 것도 좀 그렇다"고 말했다.
지도부로서는 비례대표 의석수 축소에 동의할 경우 지역구 의원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당론을 뒤집었다는 비판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존 당론인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이 새누리당의 반대에 따라 현실적으로 어려워진 만큼 석패율제 도입을 적극 검토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회의 후 "석패율제는 사실상 우리 당의 당론이다. 전당대회 때 문 대표도 주장했고 저도 주장한 만큼 충분히 논의 가능하다"면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석패율제를 포함해 선거제도 개편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새정치연합도 비례대표 감축 의견 솔솔” 지도부는 펄쩍
입력 2015-09-21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