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 대비, 신설 경기장의 공정률을 연말까지 5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7차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지원위원회를 열어 이 같이 결정했다.
신설 경기장은 정선 알파인,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강릉 아이스아레나, 강릉 하키센터, 관동 하키센터 등 6개로 현재 이들 경기장의 공정률은 약 30% 수준이다.
정부는 특히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내에 있는 봅슬레이, 스켈레톤, 루지 등 썰매종목 경기장의 트랙 부분 등을 연내에 완공하고, 내년 초부터 훈련장으로 개방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기존 시설을 이용하는 용평 알파인 경기장, 알펜시아 스키점프·크로스컨트리·바이애슬론 경기장 등 4개 시설은 국제 대회 규격에 맞도록 개선하는 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이 시설들은 노후시설을 교체하고, 위험구간 코스를 개선하는 공사를 거쳐 2016년 말까지 국제경기연맹에 국제인증을 받을 방침이다.
이어 동계올림픽 및 장애인올림픽대회에 참가하는 선수와 국내외 관광객이 숙박과 휴양, 한국전통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강원도에 전통한옥촌을 조성하기로 하고
지난해 1월 고시한 '특구종합계획에 대한 변경(안)'을 심의·의결했다.
변경안은 당초 조성키로 한 '5개 특구, 11개 지구'를 '5개 특구, 13개 지구'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새로 추가된 지구는 '강릉 문화올림픽종합특구 내 전통역사문화지구(0.14㎢)'와 '강릉로하스휴양특구 내 정동진관광휴양지구(0.5㎢)'다.
전통역사문화지구에는 오죽헌과 연계한 전통한옥촌이 들어선다. 정동진관광휴양지구에는 중국 자본을 유치해 고급 호텔과 콘도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2개 지구 모두 동계올림픽 전까지 조성을 완료해 올림픽 참가자와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숙박·휴양, 전통문화 체험 등을 제공하는 관광 인프라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 평창올림픽 기간에 156만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것과 관련, 정부는 올림픽 최초로 온실가스 발생량 전량을 감축하거나 또는 배출권을 사서 상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5세대(5G) 이동통신과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문체부와 조직위는 지난 7월 올림픽과 패럴림픽 총감독을 선임한데 이어 오는 11월까지 개·폐회식 기본 콘셉트와 연출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강원도 평창, 강릉, 정선 등 올림픽 개최도시 등을 중심으로 평창겨울음악제 등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예술 축제들을 개최하기로 했다.
이밖에 문체부와 대한체육회는 메달 20개에 종합 4위를 목표로 종목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을 운영하고, 외국인 지도자를 영입하는 등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 실시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179억원의 정부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평창동계올림픽 신설경기장 연말까지 공정률 50% 이상 끌어롤린다
입력 2015-09-21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