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형사립고나 특수목적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 비해 최대 7배 이상 높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홍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교육사회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공동으로 중학교 3학년 1818명과 고등학교 1학년 2051명을 조사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월평균 100만원 이상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중3학생을 진학 희망고교 유형별로 살펴보면 △일반고 4.9% △광역단위 자사고 18.8% △전국단위 자사고 28.6% △과학고·영재학교 35.0% △외국어고·국제고 15.3%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고 진행 희망학생(4.9%)에 비해 과학고·영재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35.0%)의 고액 사교육 참여비율은 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주당 14시간 이상 사교육 참여비율 조사에선 △광역단위 자사고 43.2% △전국단위 자사고 51.0% △과학고·영재학교 60.5% △외국어고·국제고 41.2%로 나타나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22.8% 보다 최대 28.2%포인트 높았다.
중3학생이 선행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광역단위 자사고 92.8% △전국단위 자사고 92.7% △과학고·영재학교 83.3%, △외국어고·국제고 88.5% △일반고 75.6%로 자사고나 특목고 진학 희망 학생이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보다 최대 17.2%포인트 높았다.
박 의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고교다양화 정책이 학교서열화와 사교육 과열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특권학교에 부여된 성적위주의 우선선발권을 폐지해서 공교육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교육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빨리 풀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도 "수직적 서열화에서 수평적 다양화로의 전환을 위한 중요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자사고.특목고 가려면 일반고의 7배 사교육비 쓴다”
입력 2015-09-21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