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단체가 지난달 25일 남북 고위급 합의 이후 처음으로 대북 전단 20만장을 기습 살포했다. 정부는 민간단체의 행동에 간섭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남북 관계에 악영향을 끼칠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난 20일 오후 5시쯤 경기도 파주 만우리에서 북한을 규탄하는 전단 20만장을 10개의 대형 풍선에 매달아 북으로 날려 보냈다. 전단에는 최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및 추가 핵실험을 시사한 북한을 규탄하고 ‘김정은 북한’의 3대 세습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겼다. 대형 풍선에는 미화 1달러짜리 지폐 1000장과 함께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내용 및 북한의 가혹한 인권 유린 실태를 담은 동영상 DVD 500장, USB 메모리 500개도 담았다. 비공개로 전단을 날린 탓에 정부와 경찰도 미처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단체 박상학 대표는 21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남북 고위급 합의 이후 북한의 태도를 지켜봐왔다. 하지만 이산가족 상봉을 앞두고 추가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실험을 시사하는 등 달라진 점이 없었다”며 “북한의 국제적 고립 상황을 주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전단을 보냈다”고 말했다.
대북 전단은 우리 군의 확성기 방송과 함께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심리전 수단이다. 북한은 최근 여러 채널을 통해 대북 전단 살포 중단을 요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도 ‘8·25 합의’ 이후 아슬아슬하게 유지된 남북간 화해 무드에 이번 전단 살포가 어떤 영향을 끼칠지 노심초사하고 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대북 전단 살포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신변 보호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면서도 “다른 주민에 어떤 위해가 있다든지 또는 공공질서에 위협이 될 경우 그대로 둘 순 없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끼칠 영향에 대해서는 “이산가족 상봉 합의가 포함된 남북 ‘8·25합의’와 대북전단은 관계가 없는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탈북단체 대북 전단 기습살포
입력 2015-09-21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