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8일 재신임투표 강경론에서 선회해 투표를 전격적으로 철회할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문 대표 측에서는 20일 당무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지도부 흔들기 중단 선언에 준하는 담보가 이뤄진다면 투표 철회가 가능하다는 진전된 입장까지 내놓았다.
문 대표는 비주류의 당대표 사퇴 등 거취를 둘러싼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재신임투표가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보지만 당내에서 투표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전방위로 나와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문 대표는 겉으로는 특단의 사정 변화가 없다면 재신임투표를 추석 전 실시하겠다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이날 중진과 최고위원들이 통합과 화합을 위해 투표를 취소해달라고 잇따라 주문했지만 이 정도로는 투표 자체를 철회할 명분이 되기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문 대표의 한 측근은 "중진들이 당의 단합을 위해 노력한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해법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투표를 중단하라는 요구만 가져온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위원회도 기자회견을 열어 "혁신안의 중앙위원회 통과는 재신임의 다른 이름"이라며 문 대표가 투표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혁신안 중앙위 통과가 재신임된 것과 같다고 해석하는 것은 아전인수다. 재신임을 묻는 것을 번복할 사유는 되지 못한다"고 반박했다.
문 대표는 이날 김상곤 혁신위원장과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도 이런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 측은 명분없이 철회하면 정면돌파를 바라는 문 대표 지지층 여론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또다시 당내 반발에 밀리는 모양새로 비치면서 언제든지 비슷한 상황이 재발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 당의 화합을 위해 전향적 결단에 나서달라는 요구를 수용할 경우 당장 당내 여론에 밀린 것처럼 보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계파화합을 위해 대승적 결단을 내렸다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문 대표측 내에서조차 재신임 투표 강행과 철회를 놓고 강경파와 온건파 간 입장이 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문 대표 측은 20일 연석회의를 지켜본 뒤 최종적으로 투표 실시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문 대표 측은 연석회의에서 조기 전대론이나 대표 사퇴론 등을 더이상 거론하지 않겠다는 정도의 담보가 이뤄진다면 재신임투표를 철회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문 대표도 한 사석에서 "재신임투표는 나를 하도 흔들어대는데 대한 자구책이다. 더이상 조기 전대나 사퇴하라는 얘기를 안하겠다는 분위기가 형성돼야 투표를 멈출 수 있다. 그렇지 못한 채 투표를 철회하면 미봉에 불과하고 또다시 분란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연석회의에 비주류가 대거 불참하거나 당 분란사태 해소를 위한 총의가 모아지지 못한다면 재신임투표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문 대표 측 기류다.
문 대표는 이날 재신임투표 실시로 결론날 경우에 대비해 투표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신임투표관리위원회에 실무적 준비를 진행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비주류, 더이상 흔들지 않는다는 조건?” 문재인, 조건부 재신임 투표 철회 시사
입력 2015-09-18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