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당국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9차 국장급 협의에서 한·일 외교장관회담 개최를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다만 관심을 모았던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18일 18일 일본 도쿄도(東京都) 외무성 청사에서 군 위안부 문제 관련 9차 협의를 열었다. 한·일 양측은 군 위안부 문제 등 현안과 이달 말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를 계기로 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국장은 협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한·일 외교장관 간에는 6월 21일 도쿄에서 열린 회담에서 다자 무대를 계기로 정례적으로 만난다는 기본적인 합의가 있었다”며 “그와 관련해 앞으로 있을 다자 무대에서의 한·일 외교장관 회담 개최문제에 관해 유익한 의견 교환이 있었다”고 말했다. 양측은 또 10월 중 제10차 국장급 협의를 개최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키로 했다.
이번 협의는 10월말에서 11월초 사이 우리나라에서 열릴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개최된다는 점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의 결정적 단초가 마련될지 관심을 모았다.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함께 열릴 것으로 보여, 그 전에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양국의 입장차가 어느 정도 좁혀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다.
이와 관련, 이 국장은 “접점을 좁힌 것은 아니고 접점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을 해나가기로 했다”고만 말했다. 이에 따라 한·일 외교장관회담 및 다음달 쯤 열릴 예정인 3국 정상회의와 한·일 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위안부 문제의 결정적인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다만 이 국장은 3국 정상회의와 관련해 “개최 시기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서 그런 논의는 시기장조”라고 말했으며,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된 논의도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한·일 양국은 지난해 4월 이후 1~2개월마다 한 번씩 서울과 도쿄를 번갈아가며 국장급 협의를 가져왔다. 양국은 이명박정부 시절인 2012년 3월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당시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내놓은 ‘사사에안’을 기준으로 막바지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그동안 협의에서 일부 진전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지만, 위안부 동원에 대한 일본 정부 차원의 책임 인정 및 금전적 배상 등 쟁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한·일 정상회담 앞두고 열린 제9차 위안부 국장급 협의… 위안부 문제 완전 해결 돌파구 마련될까
입력 2015-09-18 1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