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9월 15~17일(3일간) 전국 성인 1002명에게 노사정 합의에 대해 물은 결과 35%는 '잘한 일', 20%는 '잘못한 일'로 봤으며 45%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409명)은 50%가 '잘된 일', 10%가 '잘못된 일'이라고 답해 긍정적 시각이 우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207명)은 긍·부정이 각각 약 30%,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343명) 역시 긍·부정 약 20%로 비슷했다.
그러나 양당 지지층의 약 40%, 무당층의 58%가 평가를 유보해 노사정 합의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잘 모르거나 아직은 판단할 단계가 아니라고 본 듯하다. 합의 사항 이행에는 입법, 예산 조치가 따라야 하며, 이번 합의를 이끈 김대환 노사정 위원장도 '대타협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노사정 합의가 잘됐다고 보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350명, 자유응답) '타협, 합의/서로 양보'(36%)를 가장 많이 답해 '청년 등 일자리 확보 기대'(11%), '임금피크제'(5%)와 같은 세부 내용보다는 합의에 이른 사실 자체를 좋게 봤다.
노사정 합의가 잘못됐다고 보는 사람들은(198명, 자유응답) '사측 입장 과도하게 반영'(17%), '논의 불충분'(15%), '일반해고 쉬워짐'(14%) 등을 지적했다.
일정 연령이 되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을 보장하는 임금피크제에 대해 우리 국민 열 명 중 일곱 명(70%)이 찬성했고, 20%는 반대했으며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의 약 30%가 임금피크제 도입에 반대했지만,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도입 찬성이 우세했다. 작년 12월 첫째 주 조사에서도 찬성 73%, 반대 20%로 비슷했다.
불과 몇 달 뒤면 시행될 '정년 연장'을 '청년 일자리 확대'와 견주는 것은 무리일 수 있으나, 정년을 앞둔 아버지와 취업 준비 중인 자녀의 세대 간 입장 차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물었다. 그 결과 73%가 '청년 일자리 확대'를 꼽았고 15%는 '정년 연장',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성, 연령, 지역, 직업 등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청년 일자리 확대'를 더 중요한 사안으로 봤다. 부모-자녀 세대 간 이견 없이 청년 취업을 우선시했다. 그 이면에는 정년이 법으로 보장되더라도 대다수의 중소 민간기업 임금노동자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훨씬 더 이른 시기에 퇴직한다는 현실이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중 정규직 임금노동자는 27%, 비정규직은 15%, 비임금노동자는 21%였으며, 37%는 일을 하지 않거나 직장에 다니지 않았다. 연령별로 보면 비임금노동자(주로 자영업)는 50대(36%), 정규직은 30대(44%)에 가장 많았고, 비정규직은 20대부터 50대까지 비교적 고르게 분포했다. 직업별로는 블루칼라 직군의 52%가 비정규직, 화이트칼라 직군의 75%가 정규직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9월 15~17일(3일간)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조사대상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2명이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이고 응답률은 18%(총 통화 5,418명 중 1,002명 응답 완료)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노사정 합의 “잘한 일 35% 대 잘못한 일 20%” 입장 유보 45%
입력 2015-09-18 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