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국민통합과 새로운 대한민국의 가치를 도출하겠다며 거창하게 출범한 국민대통합위원회(위원장 한광옥)가 청와대나 정부의 무관심 속에 제 위상을 찾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서울 마포갑)이 행정자치부로부터 제출받아 1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대통합위원회는 출범 이후 6차례 정기회의를 열었지만 당연직 위원인 정부부처 장관들이 불참했다. 차관이나 기획조정실장이 참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기획재정부나 국무조정실은 아예 참석하지 않고 있다.
국민대통합위원회에는 민간위원 18명과 함께 당연직 위원으로 17개 부처 장관, 국민권익위원장,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정무수석 등 20명이 참여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2013년 7월 8일 첫 회의는 정부 측 당연직 위원들이 참석했으나 이후 열린 정기회의에는 모두 불참했다. 2013년 12월 2차 회의부터 차관이나 기획조정실장이 대신 참석했고, 서면으로 열린 3차 회의에는 기획재정부와 국무조정실은 의결서도 제출하지 않았다.
2014년 10월 4차 회의부터는 위원회 간사인 청와대 정무수석조차 불참했고 차관이 참석한 곳도 여성가족부 1곳에 그쳤다.
국민대통합위원회는 2013년 48억원, 2014년 70억원, 올해 현재 84억6500만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그동안 국민대토론회, 청춘토크 통일드림 사업, 지역간담회, 국민통합 지원체계 구축사업 등을 진행해 왔다.
노웅래 의원은 “대통령도, 장관도 관심 없는 국민대통합위원회 활동의 성과가 의심스럽다”며 “제대로 된 감사나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국민대통합위원회 청와대 정부 부처 무관심 속 ‘속빈 강정’ 전락
입력 2015-09-18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