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1년전...수류탄은 이상없다, 사고원인은 불명이라더니... 대구 폭발사고 원인규명 촉구

입력 2015-09-17 18:43

국회 국방위원회의 17일 국정감사에서는 최근 대구의 한 군 훈련장에서 발생한 수류탄 폭발 사고와 관련, 전수검사를 진행 중인 국방기술품질원을 상대로 평소에 불량 여부가 제대로 검수 되고 있는지 추궁이 이어졌다.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작년 해병대 수류탄 사고로 사망자가 있었는데 조사를 해서 '수류탄은 이상없다, 사고원인은 불명이다'라고 하고서, 올해 똑같은 로트(생산연도가 생산라인 등을 문자와 숫자로 표기한 것)가 또 터져 사망했다"면서 "2천20발을 조사하냐 전수조사 하냐 오락가락하다가 지금 5만5천발을 전수조사 하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그러면서 "5만5천발 전수조사해서 이번에도 만약 수류탄이 이상없다고 하면 (사고원인은 또) 불명이 되는건가"라고 따져 물었다.

그는 "작년에 탄약사가 보유한 완성탄 폭발시험 장비를 기품원에서는 안 쓰고 폭발시험도 굉장히 원시적으로 하고 이런식으로 조사해서 올해 사고가 났는데, 조사 기업에 불량 수류탄을 만들었을지 모르는 한화 민간기업을 포함시키는 게 맞나"라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윤후덕 의원도 "작년 해병대 사고 때 조사한 분을 보니 과반 이상이 기품원 직원이고 한화 직원으로, 책임질지 모르는 분들"이라며 "이번 사고는 조사결과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검수, 생산 책임자는 배제하라"고 요구했다.

윤 의원은 이어 "(이번에 사고가 난 동일 로트 제품에 대해 실시한) 작년 조사에서 '정상 파지(손으로 쥠) 상태에서 조기폭발 가능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엉터리 조사를 한 게 아니냐"며 "동일 로트번호를 전량 파기만 했어도 이번 사태는 안 일어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헌곤 원장은 "(동일 로트 제품은) 전수검사를 할 것이며, 엑스레이를 재촬영해 생산 당시 촬영한 필름과 비교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5만3천개를 전수검사 할 계획인데 시간이 좀 걸리므로 10월 말까지 1단계로 1만3천발에 대해 전수검사를 할 계획"이라면서 "시기적으로 1단계를 종료한 후 2단계 (검사 완료 시기 등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새정치연합 김광진 의원이 "수류탄을 한화 한군데서 만드는데 '이 사업이 돈도 안 되고 이미지만 깎인다'며 안 만들겠다고 결정하면 어떻게 되냐"고 묻자, "그런 말을 못 하도록 하겠다"고 답해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이 원장은 "수류탄은 소모성으로 지속적으로 보급돼야 하는 중요 물자라서 국내에서 생산을 안 하면 대체 업체를 찾아보도록 해야 해서 (그렇다)"고 부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