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라이머리 놓고 여권내부 균열 조짐

입력 2015-09-17 16:51
새누리당 내부에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추진을 둘러싼 내분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친박(친박근혜)계 핵심들이 잇따라 오픈프라이머리 회의론을 제기하면서다. 김무성 대표는 “당론으로 정해진 만큼 입장이 바뀐 게 없다”며 강행 방침을 고수했지만, 공천방식을 놓고 계파갈등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김 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새정치민주연합 중앙위원회에서 통과된 공천제도는 반개혁적·반혁신적”이라며 “새누리당은 공천권을 국민께 돌려드리는 것이 최고의 정치개혁이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회의 전 당 국민공천제추진 태스크포스(TF)를 긴급 소집해 직접 회의를 주재하면서도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은 흔들림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한다. TF 회의는 야당의 혁신안 통과 대응방안 논의가 명분이었지만,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이 전날 오픈프라이머리 불가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한 대응 성격이 짙다. 김 대표는 다만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께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기조가 변함이 없는 것이지 투표 방법 등에 대해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고 여지를 뒀다.

그러나 친박 맏형 서청원 최고위원은 “오픈프라이머리가 어려움에 봉착한 것 같다.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동을 걸었다. 그는 “김 대표가 이 문제에 대해 ‘정치생명을 걸고 관철하겠다’고 한 것을 포함해 앞으로 이 문제가 어려워졌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떳떳한 얘기가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언제까지 야당에 질질 끌려갈 수 없고, 반개혁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안 하는 것처럼 비치는 사태가 있어서도 안 된다”며 “국감 이후 김 대표 입장을 분명히 할 때가 왔다”고 압박했다. 야당 반대로 사실상 완전한 형태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불가능해졌으니 ‘플랜 B’를 마련하라는 취지다.

서 최고위원이 시한을 밝힌 것을 놓고도 분분한 해석이 나온다. 새누리당은 지난 4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관련 혁신안을 추인하며 ‘총선에 나서려는 당협위원장은 예비선거일 180일 전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규정을 뒀다. 그러나 이미 예비선거일 규정은 틀어진 상태고, 내년 총선일(4월 13일)을 기준으로 해도 선거출마자들은 최소 10월 16일까지는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놔야 한다. 10월 초·중순까지 이 문제를 정리하지 못할 경우 당 내부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취지가 퇴색했다’는 공격을 받을 수 있다. 서 최고위원이 언급한 시한이 사실상 최후통첩 성격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정치권 내부에선 오픈프라이머리를 둘러싼 갈등 뒤에는 공천권을 둘러싼 기싸움이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공천권은 여권 내 권력 헤게모니를 흔들 수 있는 문제여서 결국 친박·비박계 간 갈등이 재연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당장은 노동개혁 등 여권이 힘을 합쳐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고,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도 협상의 여지를 둔만큼 당장 갈등이 표면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