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목사는 공식적으로 받는 사례비 말고도 담임목사의 개인적 행위들을 위해 교회 공적 비용이 지출되고 있다. 수백억 원의 재정규모를 가진 담임목사들은 때로 수십억 원을 영수증 없이 사용하고, 교회를 떠나게 될 때에는 거액의 전별금을 요구하기도 한다."
한국교회연구원(원장 전병금 목사)은 17일 오후 5시 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제2회 종교개혁500주년기념 심포지엄을 연다.
심포지엄은 '한국교회 마르틴 루터에게 길을 묻다-한국교회 왜 민주적이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백종국 경상대 정치외교학 교수는 이날 배포한 발제문에서 한국 개신교의 최대의 문제는 담임목사의 독재이며 이는 교회를 망치는 담이므로 이를 허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 교수는 모든 그리스도인은 다 왕 같은 제사장이며 그들 중 누구라도 자신이 구별된 성직자임을 주장할 수 없다는 '만인제사장론'을 종교개혁정신의 핵심으로 꼽았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회는 이와 반대로 "목사를 기름 부음 받은 자, 주의 종이라며 안수를 받은 목사들이 교회를 다스려야 한다는 사제주의나 교권주의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개신교의 대표적인 사제주의적 경향은 담임목사에게만 교회 운영의 모든 권한을 허용하는 담임목사의 독재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백 교수는 “한국 개신교에서 사제주의적 경향이 강해지고 목사의 독재권이 강화될수록 윤리적 혼란도 커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재정적 부패, 성 윤리의 타락, 목회세습 등이 대표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국 개신교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담임목사의 독재를 위해 쌓아놓은 담을 허무는 일"이라며 "목양권, 당회장권, 설교권, 축도권, 안수권, 세례권, 치리교권과 같은 배타적인 권리 주장과 함께 자신을 스스로 '성직자'로 칭하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민주적 정관의 중요성도 강조하면서 정관에는 사역자의 임기제, 의사결정의 민주화, 재정의 투명성 보장 등 세 가지 핵심 조항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례 발표자로 나선 부천예인교회 정성규 목사는 “일반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정치인이나 재벌 총수의 경우, 사회적 비난을 감안해서 스스로 2선으로 물러나거나 재산을 사회에 헌납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개신교의 목회자들은 사법부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각종 비리들이 공중파 TV와 주요 언론에 보도 되더라도 건재하다며 그 이유는 목회자의 제왕적 권위에 교인들이 자발적으로 협조하고 순종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부동산 투기와 불투명한 교회재정 운영을 하다가 교회 장로에게 고소를 당한 인천 만수동 모 교회 담임목사의 사례를 들면서 "이 목사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음에도 건재하다. 오히려 범죄 사실을 지적한 성도들을 사탄의 앞잡이로 몰아붙이는 일에 다른 성도들을 동원하는 것이 한국교회의 현실"이라고 비난했다.
정 목사는 민주적 교회 운영을 위해 목회자가 독점했던 목회, 행정(재정), 사역 등 세 부분을 독립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
“한국교회, 담임목사 독재 위해 쌓아놓은 담 허물어야”
입력 2015-09-17 15:21 수정 2015-09-17 2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