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서울지역 ‘빅5 상급종합병원’이라는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연세대세브란스(가나다순)이 응급실 평가에서 최하위권 점수를 받았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소속 김춘진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으로 부터 받은 2014년 응급의료센터 평가결과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은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20곳 중 17위였다.
평가는 응급의료서비스의 질(26개 지표)과 시설·장비·인력 부문 법정기준(53개 지표)항목을 조사해 나온 결과다.
'빅 5' 중 나머지 4개 병원도 평가결과가 낮았다.
120개 지역센터 중에서 서울아산병원은 111위,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은 108위, 연세대세브란스병원은 105위, 삼성서울병원은 104위 등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빅5병원은 평가의 주요지표중 하나인 응급실의 경우 병상포화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급환자를 수용할수 있는 병상보다 더 많은 응급환자가 몰렸으며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특히 심각했다.
병상포화지수(%)를 조사한 결과 서울대병원은 175.2%에 달했다.
삼성서울병원도 133.2%였다.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110.8%, 연세대세브란스병원 105.5%, 서울아산병원 103.8% 등 빅5병원 응급실은 모두 100%를 넘었다.
병상포화지수는 한 병원 응급실에서 1년간 환자들이 실제 머문 시간 총합을 이론상 해당 응급실 모든 병상에서 1년간 머물 수 있는 최대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100%가 넘으면 병상보다 환자 수가 너무 많아 항상 '대기'가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빅5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가 머문 시간은 서울대병원 4.2시간, 삼성서울병원 3.8시간, 서울아산병원 3.3시간, 연세대세브란스병원 2.6시간,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2.3시간 등이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서울 빅5 상급종합볍원, 응급실 평가 최하위권” 120개 병원중 100위권 밖
입력 2015-09-17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