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의 공천혁신안이 16일 진통 끝에 중앙위원회를 통과하면서 그동안 발표된 혁신안의 구체적 내용이 주목받고 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지난 5월 27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실력있는 정책정당, 활력있는 젊은정당, 책임있는 신뢰정당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면서 "혁신위는 정당개혁, 공천개혁, 정치개혁의 무겁고 준엄한 혁신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표되던 혁신작업은 막판 공천개혁안에 이르면서 당내 계파갈등의 도화선이 됐다.
혁신안에 대한 논란이 본격화된 것은 현역의원 평가를 통해 하위 20%는 공천에서 배제하자는 '물갈이' 계획인 8차 혁신안 발표 때부터였다.
문재인 대표와 혁신위는 쇄신을 위한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나, 호남 의원과 비주류 의원들은 잇딴 회동을 통해 '물갈이'의 공정성에 의문을 드러내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지난 10일 혁신위가 10차 혁신안을 통해 여야가 추진중인 안심번호 도입을 전제로 총선 경선 과정에 100%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국민공천단을 구성하고 결선투표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하자 이 같은 갈등이 전면화됐다.
비주류측은 이에 대해 당원의 권리를 사실상 무시한 공천안으로서 신인가산점제의 부작용에 대한 검토도 충분히 되지 않았다며 주류와 혁신위에 총공세를 퍼부었고, 혁신안의 통과마저 장담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왔다.
여기에 문 대표가 자신의 재신임까지 연계시키면서 혁신안을 둘러싼 갈등은 폭발 직전까지 치달았다.
이처럼 가장 예민한 공천 문제에 있어서는 파열음이 끊이지 않았지만, 혁신위는 정치·정당 부문 개혁에서도 꾸준히 혁신안을 발표하며 당의 체질 개선을 추진했다.
6월 23일 첫 공개된 1차 혁신안에서는 선출직공직자평가위 구성 방침과 함께 막말 등 해당 행위를 평가 항목에 포함하는 '교체지수' 도입이 예고됐다.
혁신위는 이어 계파정치 청산을 위해 사무총장제를 폐지하는 대신 5개 본부장제를 도입하는 한편, 최고위원제를 없애고 지역·세대·계층·부문별 대표로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하는 등 지도체제 개편을 제안했다.
아울러 기초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 공천권을 시도당에 이양하는 방안을 내놓음으로써 기존의 중앙당 위주의 정당질서에 '메스'를 댔다.
정치개혁과 관련,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당론으로 채택했고, 여성과 청년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여성 공천 30% 의무화를 법제화하고 내년 총선 후보의 10% 이상을 청년에 할당하는 방안도 요구했다.
이들 방안은 일부 수정을 거치기도 했지만 대부분 그대로 중앙위원회와 당무위원회 의결을 통해 당헌·당규에 반영돼 실질적 효력을 확보했다.
이로써 당의 제도적 체질개선을 마무리한 혁신위는 오는 23일 '제도를 넘는 혁신'을 주제로 인적쇄신 방안을 발표하면서 인적·제도적 혁신작업의 마침표를 찍을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쇄신 대상으로 특정 인사의 이름이 거론될 수 있다는 예상이 끊이지 않는 등 당내가 또 한번 술렁거리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계파 대충돌 불러온 野 혁신안, 도대체 무슨 내용 담겼나
입력 2015-09-16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