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중앙위원회에서 16일 공천혁신안이 통과되자, 당내 비주류는 즉각 “무효”라고 주장하며 강력 반발했다. 혁신안을 둘러싼 주류 대 비주류의 투쟁이 2라운드를 맞이하면서 양 진영 간 ‘강 대 강’ 대치가 더 격화될 양상이다.
비주류 의원들은 중앙위가 진행되는 도중에 “일방적인 회의 진행을 중단하라”며 퇴장했다. 문병호 의원은 퇴장한 뒤 “당 운영을 독선적으로 하는 밀어붙이기식에 동의할 수 없었다”며 “(혁신) 안건의 통과 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기 때문에 무효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동철 의원은 “문 대표가 통합 행보를 하겠다면, (혁신안에) 반대하는 중앙위원들을 만나서 직접 설득하고 충분한 토론기회를 줘단일안을 만들도록 노력했어야 했다”면서 “표결하자고 던져놓는 게 과연 통합행보인지, 참 안타깝고 대단히 잘못됐다”고 했다. 김 의원은 “비민주적인, 국민들의 의사와는 동 떨어진 이런 의사진행에 결코 동의할 수 없고 앞으로 계속해서 진정한 당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 투쟁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원식 의원도 “혁신안 반대 의견을 내세우면 무조건 기득권세력으로 몰고 토론을 봉쇄하는 것이야 말로 구태정치고 계파 패권주의”라며 “저희로선 패권주의와 끊임없는 싸움을 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사실상 공개투표는 혁신이 ‘유신’(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에 빗대어 표현)됐다는 것”이라고까지 했다.
비주류 진영은 문 대표의 재신임 투표를 국정감사 이후로 연기시키거나 무산시키는데 주력할 전망이다. 특히 주류 측이 중앙위 혁신안 통과 강행의 절차 문제를 집중 제기하면서 ‘독선적’ ‘패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문 대표의 사퇴를 전제로 하는 ‘조기 전당대회’ 주장도 재점화할 개연성이 높다. 당 혁신위원회의 혁신안과는 다른 내용의 혁신안을 내놓는 등 혁신 투쟁도 동시에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재신임 투표에 대한 문 대표의 의지가 확고한 상황이라 비주류 측으로선 이를 막아설 마땅한 정치적 수단이 없는 상황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혁신안 통과, 비주류 의원 격한 반응…다음 카드는
입력 2015-09-16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