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아이디어를 내고 '1호 기부자'로서 2000만원과 매달 월급의 20%를 출연키로 한 '청년희망펀드'를 청년창업에 대한 소액대출에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펀드의 장기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자금 회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다. 남은 임기 등을 고려할 때 박 대통령의 총 기부액은 약 1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16일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에 따르면 정부는 '청년희망펀드'의 활용처로 △청년창업 소액대출 △청년 구직자 지원 △청년 채용기업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연계 지원 등을 검토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펀드가 지속적으로 운용되려면 자금 회수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청년창업 등에 대한 소액대출도 한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청년 구직자나 청년 채용기업을 지원할 수도 있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 지원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이미 관련 재정지원 사업들이 있는 만큼 최대한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투자 대상 가운데 주식이나 부동산은 대통령 주도의 펀드가 보유할 경우 각종 정치적 논란에 휘말릴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떨어진다. 결국 채권 성격의 대출이 가장 유력한 대안이다. 특히 청년창업에 대한 대출은 박근혜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실현' 실현에도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청년희망펀드' 조성 및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국무위원 간담회를 마친 뒤 "연말까지 청년희망재단을 신설해 조성된 펀드의 관리와 운영 등 본격적인 사업 시행을 준비하겠다"며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구직자와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청년들을 대상으로 취업 기회도 최대한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朴대통령 출연 청년희망펀드 사용처는...청년창업 소액 대출 검토중
입력 2015-09-16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