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서 없는 지방자치단체 전국 40곳, 전남은 10곳이나 미설치

입력 2015-09-16 13:49
소방·구조 일선 행정기관인 소방서가 없는 지방자치단체가 전국에 40곳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남은 10개 군(郡)에 소방서가 없어 설치 비율이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낮았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황인자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아 16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소방서가 없는 지자체는 40곳이다. 전남의 5개 시, 17개 군 가운데 절반가량인 10곳에 소방서가 설치돼 있지 않다.

서울에서도 성동구와 금천구 등 2곳에 소방서가 없어 이들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인근 자치구 소방서에서 출동하고 있다. 부산시도 북·동래·진·서·남구 등 5곳, 인천시는 연수·동구·옹진군 등 3곳, 대전시는 중구, 대구시는 남구, 울산시는 북구에 소방서가 없다.

전북은 진안·무주·임실·순창·완주군 등 5곳, 경북은 청송·영양군 등 7곳에 소방서가 설치돼 있지 않다.

이들 중에는 설치를 추진 중인 곳도 있지만 재정 여건 및 수요 부족 등을 이유로 설치 계획이 없는 곳이 상당수다.

소방서가 없는 지역에는 119안전센터가 설치돼 있지만 이곳은 대부분 구급차 1대, 소방차 1대 정도로 장비가 열악해 화재 발생 시 대응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소방관련 인허가 업무도 타 지역에서 해결해야 한다.

황인자 의원은 “긴급 재난이나 사고는 초기에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하느냐가 관건”이라며 “광역단체장들은 각 시·군·구에 소방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방 예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행정자치부는 구급대원 증원 등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