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소방서가 없는 지자체가 4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7개 시·도 중에서 소방서 설치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전라남도로, 전체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수의 절반에 이르는 10곳에 소방서가 없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황인자 의원이 16일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소방서가 없는 지자체는 40곳이며, 이 중 24%인 10곳이 전남의 군 지역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경우도 성동구와 금천구 2곳에 소방서가 없다. 성동구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광진구에서, 금천구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구로구에서 출동하고 있다.
이밖에 부산 5곳(북구·동래구·진구·서구·남구), 인천 3곳(연수구·동구·옹진군), 대전 중구, 대구 남구, 울산 북구 등 광역시 단위에서도 소방서가 없는 지자체가 13곳에 달했다.
소방서가 없는 지역에는 119안전센터가 설치돼 있지만 이들 센터는 각 관할 지역의 소방 업무를 1차적으로 처리하는 곳으로 대부분 구급차 1대, 소방차 1대 정도를 갖추고 있을 뿐이다.
이에 비해 소방서는 화재 진압, 인명 구조뿐 아니라 소방 관련 위험물 점검, 음식점 등 허가 시 소방 관련 인허가 업무 등도 처리한다.
소방서가 없는 지역의 주민들은 화재 및 긴급 상황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민원 처리에 불편을 겪는 이중고를 감수해야 하는 것이다.
황 의원은 "화재 등 긴급 재난이나 사고는 결국 초기에 얼마나 빨리 대응하느냐가 관건"이라면서 "기초단체마다 소방서가 설치되도록 노력해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주민들이 안전과 관련된 민원 업무에도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소방서도 없는 시군구 모두 40곳...전남 10곳에 없어”
입력 2015-09-16 0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