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음달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10월 10일) 전후로 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피력함에 따라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ICBM) 개발능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6번째가 될 장거리 로켓 시험발사에서 적어도 지난번보다는 진전된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는 군사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사거리를 더 늘리고,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물체의 중량을 늘려 진일보된 위성궤도 진입기술을 과시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사거리 늘리기=지난 5차 시험발사 때보다 장거리 로켓의 사거리가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국책연구소의 한 미사일 전문가는 15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발사체 지지대가 2배 정도 높아진 것은 사거리가 훨씬 긴 로켓을 발사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2012년 5차 장거리 로켓 시험발사 후 한·미 정보당국은 2단 로켓이 떨어진 지점과 비행궤적을 토대로 이 로켓의 사거리가 8500~1만㎞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동창리에서 미국 서부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거리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사거리를 과시할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1988년 8월 처음으로 대포동 1호를 발사한 것으로 포함해 5차례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를 했다. 이중 2006년 7월(2차)과 2012년 4월(4차) 시험발사는 실패했지만, 나머지 세 번은 성공했다. 시험발사를 거듭할수록 사거리가 2500㎞(1차)→6700㎞(3차)→8500~1만㎞로 늘었다.
사거리 확장은 미사일이 타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는 의미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타격범위가 일본 전역(1차)에서 미국 알래스카(3차), 미국 서부지역(5차)로 확대된 셈이다. 사거리만 보면 유사시 미국본토까지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 단분리 기술 확보·재진입체기술 불확실=북한은 장거리미사일의 핵심인 단분리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통상 다단계 로켓을 사용하는데 단 분리가 제대로 돼야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다. 5차 시험 발사후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1,2,3단 추진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며 “1,2단 로켓은 북한이 발표한 궤도에 비교적 정확하게 떨어졌다”고 했었다.
하지만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했는지는 불확실하다. 사거리 1500㎞이상 탄도미사일 개발 시 가장 어려운 게 재진입체 기술이다. 장거리 로켓이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해 대기권을 벗어났다가 다시 진입해야 한다. 재진입시 발생하는 엄청난 고열을 견뎌내도록 설계돼야 한다. 이 기술이 없으면 미사일은 긴 거리를 날아와도 대기권에 다시 들어오지 못하고 불타버린다. 무기로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아직 북한은 이 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궤도 안착이 우선 목표=때문에 미사일 전문가들은 다음 시험 발사 시 북한은 위성궤도에 보다 안정적으로 발사체를 진입시키는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보고 있다. 5차 시험 발사 시 북한은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물체를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위성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 관측 위성은 500㎏이상이 돼야 하는데 당시 중량은 100㎏에 불과했다. 이번에는 이보다 중량이 늘어난 물체를 발사해 실제 위성을 진입시키는 수준의 기술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북한 장거리 로켓 기술 어디까지
입력 2015-09-15 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