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조국 서울대 교수가 연일 ‘위험수위’를 오르내리는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15일 조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에 “문재인 대표사퇴 요구 사태를 보면, 2002년 선출된 대선후보 노무현을 끌어내리려 한 ‘후단협(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사태가 떠오른다”고 글을 올렸다. 후단협 사태는 16대 대선 당시 새천년민주당의 비노(비노무현)세력이 노무현 후보의 대선출마를 막고 정몽준 후보로의 단일화를 추진하기 위해 집단 탈당한 사건을 말한다.
당내 주류세력을 지지하는 조 교수는 4일부터 매일 트위터에 글을 올려 ‘혁신안’에 반대하는 비주류세력을 향해 날을 세우고 있다. 조 교수는 13일 “당인이라면 정당한 당적 절차를 존중하라”며 “그게 싫으면 탈당하여 신당 만들라”고 글을 써 중앙위원회 연기와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 투표 취소를 요구한 비노(비노무현) 측을 비판했다. 그는 전날에도 혁신안을 반대하는 세력에게 “새정치가 ‘영주연합정당’으로 머물러야 합니까”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급기야 이날 내홍에 빠진 당내 상황을 ‘후단협’에 비유해 새정치연합의 ‘집단탈당’ 트라우마를 건드렸다.
조 교수의 발언에 대해 당내 비주류 인사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박주선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 교수를 “당원도 아닌 분”이라고 지칭하며 “혁신위원의 직무와 활동 범위를 넘어서, 충고를 하시는 건지, 공자 같은 말씀을 한다”고 지적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재인 대표의 ‘산소호흡기’밖에 안 된다”며 “혁신위원의 재량을 넘어선 독단적이고 월권적이 발언이다”고 말했다.
자신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조 교수는 이날 트위터에서 “정치판에 들어오니 글이 날카로워지고 입도 험해졌다”며 “수양이 부족한 탓”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후 여의도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말아야겠다”는 말을 덧붙였다. 다만 “그래도 여전히 정치는 중요하다.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조국 "문재인 사퇴요구 사태…'후단협'떠올라" 위험수위 넘나드는 발언 논란
입력 2015-09-15 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