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경찰 1인당 담당 인구가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체감 치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경찰청이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새누리당 정용기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박근혜정부는 출범 이후 경찰 인력을 1만1000여명 늘렸다. 올 하반기까지 경찰력이 가장 많이 증원된 지역은 경기도로 2489명이다. 서울은 1796명, 부산 747명이 증가했다. 대전은 552명이 늘어났다.
하지만 지역별 경찰 1인당 담당인구 격차는 경찰력 증원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증원 이후 담당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역시 경기도로 605명이었으며, 대전 566명, 경남 539명 순이다. 2012년 경기도는 660명, 대전 646명이었던 것과 비교해 담당인구 수는 줄었지만 증원 이후에도 전국 최하위 권이다.
특히 대전은 외근 형사 1인당 5대 범죄 발생건수도 매우 높아 업무 과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외근 형사 1인당 5대 범죄 발생 건수는 전국 평균 74건이었지만, 대전은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도는 88.7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1인당 담당 인구가 가장 적은 전남의 57.5건과 비교하면 30건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경찰 1명에게 몰리는 강력 범죄 발생 건수 역시 전국 2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아 보다 현실적인 인력 수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이 같은 경찰의 업무 과중은 치안력의 저하로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경찰 1명이 담당하는 인구가 많아질수록 치안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고, 이를 틈타 다양한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특히 대전은 일선 경찰들의 고령화가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치안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대전 경찰 1인당 담당 인구 전국 최하위권…체감 치안 낮아
입력 2015-09-15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