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목포시의회가 학교급식 운영 조례 개정에 나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학무모, 영양교사, 시민단체가 간담회를 통해 친환경농수산물 만큼은 공신력 있는 기관이 맡아야 한다는 의견에도 강행해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학교급식지원센터 등에 따르면 목포시의회 관광경제위원회는 전날 학교급식지원센터에 민간업체가 농산물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목포시 학교급식지원에 관한 조례’의 일부 개정을 상정, 가결했다. 이 개정안은 17일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
시의회는 지난해 10월 31일 민간 위탁을 골자로 한 이 같은 일부개정을 입법 예고했지만 학교급식 공급의 수혜자인 학부모와 영양교사, 시민단체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특히 관광경제위원회가 의견수렴을 위해 올해 3차례 연 간담회에서 학부모, 영양교사, 시민단체 관계자 대부분은 친환경농산물 공급만큼은 공신력 있는 농협에서 계속 위탁·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3월부터 목포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위탁 운영하는 농협목포유통센터는 학교급식의 수혜 당사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시의회의 학교급식지원에 관한 조례개정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조례 개정안 통과 시 내년 7월에 있을 목포시와 목포농수산물유통센터 위탁운영 재개약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유통센터는 급식지원센터에 친환경농산물, 일반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제품 등 총 학교급식 공급물량 250억원을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설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학교급식 전체물량 가운데 36%에 해당하는 약 90억원의 친환경농산물만을 공급해왔다.
애초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 시 올해까지 단계적으로 전 품목을 취급할 계획이었지만 지역업체와의 상생을 위해 취급품목을 확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런데도 시의회는 현재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공급하는 친환경농산물마저도 민간업체가 위탁, 공급할 수 있도록 조례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유통센터는 비난했다.
급식지원센터 설립에 앞서 목포시가 2011년 9월 연구용역을 목포대에 의뢰한 결과 학부모의 61.4%가 학교급식지원센터는 지자체와 공공단체가 공동으로 설치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민간단체에 위탁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은 3.8%에 불과했다.
목포유통센터 관계자는 “목포시와 유통센터위탁 운영 계약을 체결하고 2003년 8월에 개장한 이후 현재 누적적자가 280억원에 이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목포시의회 관련 의원은 “원천적으로 민간업체 참여를 막는 것은 가혹한 행위다”면서 “일정 자격을 갖춘 민간 업체만 입찰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단서 조항을 넣었다”고 해명했다.
목포=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목포시의회 학급급식 조례 개정 추진… ‘논란’
입력 2015-09-15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