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내분 사태가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재신임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14일 지도부 회의에 불참했다. 주류에서는 혁신안 사수에 나섰지만, 비주류 의원들은 혁신안 통과를 위해 16일로 예정된 중앙위원회 연기를 요청했다. 중앙위원회가 열려도 당 내분의 해결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문 대표는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했다. 문 대표는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보다 다소 늦게 국회에 도착했지만 회의실이 아닌 대표실로 갔다. 문 대표는 기자들의 질문에도 “국정감사에 가야 한다”며 반응하지 않았다.
문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한 것은 지난 2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이후 처음이다. 중앙위 개최를 둘러싸고 비주류 진영의 공세가 계속되는 데다, 이종걸 원내대표가 문 대표의 재신임 투표에 대해 ‘유신 발언’으로 비판한 것도 회의 불참의 배경으로 해석된다. 또 자신의 거취가 연계된 중앙위를 앞두고 회의를 주재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는 이후 최고위원들을 만나서도 중앙위 개최와 재신임에 대한 뜻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는 15일에도 특별한 일정을 잡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16일은 중앙위 관련 안건 때문에 최고위 참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주류·비주류 간의 불협화음이 여과 없이 노출됐다. 비주류인 주승용 최고위원은 “수신제가 치국평천하가 리더의 덕목”이라며 “국감과 정기국회를 포기하고 당내 문제로 갈등을 하면 총선에 이길 수 없다. 왜 대표가 총선 룰에 직을 거는지 국민은 의구심이 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주류인 전병헌 최고위원은 “당내 갈등과 혼란이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다면, 조속히 끝내는 것이 오히려 상식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며 문 대표를 지지했다. 이어 “비상식적이고, 비합리적인 논거를 통해서 지도부 흔들기가 계속된다고 한다면, 이번 기회에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퇴행적 문화를 가부간에 정리를 해야 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중앙위를 앞두고 세 대결도 전면전 수준으로 확산되고 있다. 김영춘 부산시당 위원장과 김경수 경남도당 위원장 등 7개지역 시도당위원장은 공동성명을 내고 “혁신위가 제안하고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혁신안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며 “당 대표와 중진의원이 합의한 중앙위원회와 재신임 투표 일정을 흔드는 모든 시도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 초·재선 의원들로 구성된 ‘더좋은미래' 역시 전날 회동해 혁신안의 중앙위 통과 지지에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비주류 진영에서는 중앙위 개최 자체를 연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안철수 의원이 지난 13일 중앙위 무기한 연기를 요청한 데 이어 당내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도 중앙위를 국정감사가 끝나는 다음달 8일 이후로 연기하자고 요구했다.
문병호 의원은 이날 민집모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국감을 철저히 하는 게 국회가 할 일이라고 판단했다”며 “민집모와 호남지역 의원들이 공동 주최하기로 한 16일 토론회도 연기하기로 잠정 결정했다”고 전했다.
민집모는 문 대표가 중앙위를 강행할 경우 무기명 투표를 요구하고, 무기명 투표가 거부되면 투표 참여를 제고하기로 했다. 중앙위 자체가 파행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중앙위 이틀 앞두고 출구 못찾는 새정치연합 내전
입력 2015-09-14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