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중환자실 안에 중환자 전담 전문의 배치가 환자 사망률 감소 등 중환자 진료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당시 병원별 중환자실 치료 시스템 차이가 중증 환자의 생사를 가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나온 결과여서 주목된다.
중앙대병원은 지난해 9월 연세의대 고신옥 교수를 중환자진료센터장으로 영입한 후 6개월간 외과계 중환자실 관련 주요 지표를 분석한 결과, 사망률은 11.6%에서 7.1%로 4.5%포인트가, 평균 재실일수는 4.9일에서 4.3일로 12.2%가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입원 환자 수는 14.5%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환자실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세균이 온 몸에 퍼지는 패혈증이다. 중환자실 전담 전문 의사가 있는 경우 환자는 패혈증 초기 단계부터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다.
최근 대한중환자의학회의 연구 결과에서도 중환자실에 전담 전문 의사가 있는 병원의 패혈증 사망률은 18.0%에 불과했다. 반면 중환자 전문의가 없는 병원의 패혈증 사망률은 41.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신옥 교수는 “중환자실에서 급성기 중환자 치료 효과를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상태 변화를 조기에 파악하고 즉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중환자의학 교육과 임상경험이 많은 전담 전문의사가 중환자실에 있어야 그러한 역할을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중환자실 전담 전문의 배치, 중증 환자 사망률 줄였다
입력 2015-09-14 11:02 수정 2015-09-14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