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통위, 프랑스서 국정감사 “문화재 환수 적극 노력 당부”

입력 2015-09-14 02:07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13일(현지시간) 주프랑스 한국대사관, 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대표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대(對) 프랑스 외교와 문화재 반환, 여행객 보호 등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외통위 유럽반 감사반장인 심재권(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프랑스 파리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국감에서 "직지심체요절과 수국사 감로탱화 등 보물급 문화재가 프랑스에 있는데 불법 유출된 것이 아니냐"면서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환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김태호 의원은 "직지심체요절 반환에 진전이 있느냐"고 물으면서 "우리가 왜 프랑스에서 우리 문화재를 프랑스어로 설명을 들어야 하느냐. 외교부가 지속적으로 환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모철민 주프랑스 대사는 "프랑스에 한국 문화재가 3천 여점이 있으나 외규장각 의궤 이후에는 약탈 문화재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프랑스로 한국 문화재가 넘어오게 된 경로를 파악해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약탈한 외규장각 의궤는 '5년 단위 임대' 방식으로 145년 만인 2011년 한국에 돌아왔다.

한해 40만 명의 한국인이 프랑스를 찾는 상황에서 교민과 여행객의 안전을 위해 대사관이 더욱 노력해달라는 주문도 있었다.

새정치민주연합 정세균 의원은 "올해 프랑스에서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등에서 테러가 발생했을 뿐 아니라 여행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숙박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Airbnb)에서 성폭력 사고 등이 있다"면서 대사관이 교민과 관광객 안전을 위해 좀더 세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한길 의원은 "북한 문제 등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 입장이 프랑스 외교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프랑스 정부가 일본 아베 정부의 집단자위권과 '적극적 평화주의'를 지지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는 등 프랑스가 동북아 외교에서 중국·일본과 비교해 한국을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면서 적극적인 외교를 당부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