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 여러분을 뒤척이게 하는 문제들을 도와줄 수 있는 대통령이 되고 싶다.”
미국 민주당의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이메일 스캔들의 여파로 맞은 위기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유급 휴가’ 카드를 꺼내들었다.
클린턴 전 장관은 10일(현지시간) 경선 레이스의 주요 승부처로 꼽히는 오하이오 주의 주도 콜럼버스에서 한 연설에서 대표적 서민정책으로 꼽히는 ‘유급 휴가’에 관한 구체적 계획을 발표했다. 7일간의 의무 유급병가와 아이가 생긴 부모를 위한 3개월간의 유급 가족휴가 등이 핵심이다.
평소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유급휴가 의무화 추진을 지지했던 클린턴 전 장관이 정작 스스로 대선공약으로서 세부계획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설에서 클린턴 전 장관은 “사람들은 ‘유급휴가가 경제적으로 가능할 수 있을까’라고 묻는다”며 “하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작동하고 있다. 그저 결정만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또 “힘들게 직장을 구했는데 아이를 믿고 키울만한 방법이 없다거나 나와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이제 학교로 돌아가고 싶은데 그럴 수 없다면 어떻겠는가”라며 중산층과 복지를 중시하는 준비된 후보임을 자처했다.
그는 테러리즘에 대한 대책뿐 아니라 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이슈들에 대해서도 열심히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미국의 직장인들은 매년 12주간의 무급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돼 있지만 유급휴가가 보장돼 있지는 않다.
클린턴 전 장관의 이날 유급휴가 공약은 미 중산층의 옹호자를 자처함으로써 이메일 스캔들로 일파만파 번지는 위기국면을 타개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앞서 클린턴 전 장관은 미 퀴니피액대학이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8일까지 아이오와 주에서 민주당 당원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83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무소속 버니 샌더스 후보에게 첫 역전을 허용했다. 위기를 맞은 그는 지난 8일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 일(개인 이메일 서버 운영)은 실수였다. 미안하고 내 책임이다”라고 사과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위기의 힐러리가 꺼내든 카드는? 미국 직장인들의 ‘유급 휴가’
입력 2015-09-11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