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점검, 정직원 보다 외주용역직원 피폭량 10배 많아”

입력 2015-09-11 19:53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가 주도하는 원자로 설비 성능 향상 정기 점검에서 정직원보다 외주용역 직원들의 피폭선량이 10배나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수원과 한전KPS의 계획 예방 정비 당시 협력업체 외주용역 직원들의 피폭량이 정직원에 비해 10.42배나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는 6.68배 많았다.
외주용역 인원은 총 투입 인력 60만 5887명 가운데 52%에 해당하는 31만 3999명에 달했다.
무리한 비용 절감과 사고로부터 면책을 위해 유해한 위험 작업을 외주화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심지어 해당 사업 관리·감독을 맡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러한 사실을 전혀 인지하고 있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해당 사업에 대한 결과 보고서도 한수원으로부터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 의원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사업에서 지나친 외주 비율은 자칫 관리 소홀에 따른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며 "'위험의 외주화'를 넘어 '피폭의 외주화'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협력업체 직원들은 목숨을 걸고 매일 아침 원자로에 몸을 맡기고 있다. 원안위의 즉각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그러면서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원안위의 허술한 관리·감독에서 비롯됐다"며 "수천억원의 혈세를 쏟아 부어 실행하는 사업의 결과 보고서를 원안위가 검토조차 하지 않았다. 시스템 점검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