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서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우리 국민의 빠른 귀국을 돕고자 전세기를 임차하는 비용이 내년 정부 예산안에 새로 편성됐다.
외교부는 국외 대형 재난시 귀국 지원을 위한 전세기 예산 13억원을 2016년 예산안에 별도로 반영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우리 국적기가 자주 다니지 않는 지역에서 테러나 지진 등의 상황이 일어났을 때 전세기를 바로 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세기 섭외를 위한 별도 예산을 편성한 것은 지난 4월 네팔 지진 당시 현지에 체류하던 국민 상당수가 귀국 수단을 찾지 못해 발이 묶였던 것이 계기가 됐다.
정부 관계자는 "네팔 지진에서 (귀국) 비행기를 섭외하는 데 애로가 많아 이런 예산의 필요성을 생각하게 됐다"고 전했다.
편성된 예산으로는 중동 지역까지 2차례, 동남아·서남아 등의 지역까지 1차례가량 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 내에서는 보고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 우리 외교정책에 대해 우호적 여론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 공공외교' 예산도 대폭 늘었다.
북미 지역과의 '전략적 특별 협력관계' 강화 예산으로 전년보다 66.3% 증액된 39억원이 편성됐다.
대사관이 있는 워싱턴뿐만 아니라 미국 각 지역에서 여론 주도층을 상대로 '맞춤형' 공공외교를 펴고, 내년 미 대선 이후를 대비한 정책 연구용역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내년도 외교부 예산안은 전년(2조443억원) 대비 4.7% 늘어난 2조1천409억원이 편성됐다.
이 가운데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은 6천968억원으로 전년보다 2.6% 증액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해외서 대형재난 발생하면 전세기 띄워 국민 귀국시킨다”
입력 2015-09-11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