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안을 둘러싼 당 내홍을 수습하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재신임 카드’를 던졌다. 재신임에 실패하면 대표직은 물론 정치생명까지 잃을 수 있는 상황이다. 문 대표는 정치경력이 그리 길지 않지만 고비 때마다 이 같은 ‘정치적 승부수’를 던져왔고, 그 승부수가 통하며 제1야당의 대표직에 올랐다. 한번에 혼란을 끝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지나치게 ‘대결의 정치’를 야기하는 벼랑끝 전략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문 대표는 2013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정국에서 단호함을 보여줬다. 2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을 했는지를 두고 야당이 코너에 몰리자, “대화록과 녹취록 원본을 다 공개하자”고 승부수를 던졌다.
지난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면서는 같은 당 의원 가운데 맨 먼저 단식투쟁에 돌입하기도 했다. 당시 당내에서조차 “탈출구를 두지 않는 자충수”란 비판이 쏟아졌지만 단식 기간 수십 명의 동료 의원들이 농성장을 찾아 문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당내지지 세력을 ‘한 방’에 결집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자연스럽게 문 대표의 정치적 입지가 넓어졌다.
‘승부수 정치’가 노 전 대통령을 연상시킨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노 전 대통령은 2002년 대선 당시 ‘이회창 대세론’에 밀려 당선권에서 멀어지자, 여론조사 1위였던 정몽준 후보에게 후보단일화를 제안해 판세를 역전시켰다. 대통령 취임 직후에는 ‘평검사와의 대화’를 제안해 검찰개혁 논란에 대한 정면 돌파를 시도했다. 집권 중반기엔 ‘대연정’, 하반기엔 ‘개헌 제안’으로 승부수를 던졌다.
이런 방식의 정치는 지지층을 열광시킬 순 있지만, 당내 정치적 지형을 대결구도로 이끌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나치게 원칙을 강조하는 방식이 독단적으로 해석될 수 있을뿐더러 당 내 논의의 폭만 좁힌다는 얘기다. 대화와 토론으로 문제를 풀어가지 않고, 행동으로 문제를 덮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승부수가 성공하면 문 대표 본인의 정치적 입지는 커지겠지만 당 전체에는 큰 상처를 남길 개연성이 크다. 또 승부수가 실패할 경우 책임이 고스란히 당의 부담으로 남게 된다. 실제로 ‘남북정상 대화록 정국’에서 그의 발언으로 ‘사초 실종’이라는 역풍이 불었다.
박원호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 내홍이 격화되면서 문 대표가 여기서 밀리면 끝이라고 생각해 대표직을 거는 승부수를 던진 것 같다”며 “모 아니면 도 상황이 펼쳐진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결국 더 이상 토 달지 말고 내 원칙을 무조건 믿어 달라는 얘기 아니냐”면서 “조금 더 세련된 정치적 기술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문재인 또 다시 ‘승부수 정치’
입력 2015-09-10 17:24 수정 2015-09-10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