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내 비노(비노무현)계 인사들이 전날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 카드’를 던진 데 대해 조기전대론으로 맞불을 놨다. 친노(친노무현) 대 비노의 계파 갈등이 전면전으로 흐르고 있다.
문 대표의 ‘배수의 진’ 전략이 되레 계파 갈등을 폭발시키고, 국정감사를 통한 정부여당 공격의 예봉까지 꺾는 양상이다.
비노 인사들은 전 날만해도 문 대표의 갑작스런 '재신임 타드'에 허를 찔린 듯 당혹스러워했지만, 조기전대 요구를 앞세워 본격적인 '전투태세'에 돌입했다. 우선 박지원 의원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표가 다수를 임명하는 중앙위에서 재신임을 묻는데 반대한다"고 문 대표에 날을 세우며 "전당대회에서 선출됐기 때문에 전당대회에서 신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재신임 제안은 구당을 위한 순수한 입장이어야 했다"고 지적하며 “대표로서 국감을 성공시켜 당의 모습을 국민에 각인시켜야할 중차대한 시기에 결과적로 청와대를 도와주는 처사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통합의 리더십 부족으로 오늘 사태를 가져온 문 대표는 결단의 리더십을 보이라"고도 했다. .
이종걸 원내대표도 전날에 이어 문 대표와 함께 무소속 천정배 의원까지 참여하는 '통합 조기 전당대회론'을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조기전대를 통해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며 "국감이 끝날 때쯤 대안으로 거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주선 의원은 SBS라디오에서 "중앙위는 친노세력이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며 "사실상 혁신안 통과에 편승해 대표직을 연장하겠다는 잘못된 판단이자, 친노에게 뭉치라는 동원명령"이라고 비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비노계, 문 대표에 맞서 조기전대 요구
입력 2015-09-10 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