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9일 "포털 뉴스의 미래에 대해 정치적 논쟁을 배제하고 철저히 사회적 책임의 측면에서 공론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언론사보다 훨씬 영향력이 큰 포털이 우리 사회, 특히 젊은 층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인 만큼 왜곡·편향·과장된 뉴스 등 포털 뉴스의 중립성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특히 "포털의 선정적이고 비윤리적인 광고, 개인의 사생활 침해 사례는 한계를 넘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민의 80%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젊은 층의 포털 의존도는 절대적"이라며 "포털은 뉴스 구성에서 언론사와 기사를 선택하고 제목까지 수정하는 등 사실상 새로운 유형의 언론으로 기존 언론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언론사와 기사를 선택하고 제목을 수정하는 포털의 대표적 사례로 2위 업체인 '다음'을 두 차례나 거명했다.
김 대표는 "포털은 기사의 단순한 전달자 역할을 넘어 가치 판단의 영역인 편집과 배포 기능을 가진 만큼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편향성 문제는 엄중히 다뤄야 한다"면서 "뉴스를 기반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네이버, 다음은 시가총액이 높다. 이처럼 큰 권익을 누리는 만큼 사회를 향한 책임도 같이 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제는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뉴스의 공정성과 객관성 담보할 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도 포털 공정성 관련 대책을 세우라고 정책위에 지시했다고 김영우 대변인이 전했다.
특히 김 대표는 "보통 사람들은 잘 모르는데 (포털에) '좀비언론' 역할하는 언론이 상당히 많이 노출됨으로써 사실을 호도할 위험성 같은 게 있다"면서 "언론사가 아니면서 언론 역할을 하는 포털사이트의 공정성 대책을 세우는게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또 단순히 포털의 정치적 편향성 문제만 다룰 게 아니라 포털의 지나친 '상업성'과 '선정성'도 주요하게 다룰 것을 주문했다.
김 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포털이 지금 언론의 영역에 들어갔으면서도 언론의 책임 의식을 느끼지 않고 너무 편향적으로 (한다)"면서 "뉴스는 편집이 가장 중요한데, 과연 편집의 기능에 대해 제대로 하고 있는지 문제가 제기될 시점이 이미 지났다. 너무 늦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총선을 앞둔 포털 길들이기'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혀 그런 것이 아니다"라면서 "여러분도 포털 뉴스를 보면 느끼는 게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홍문종 위원장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포털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등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많다"며 "(검색어 순위를 좌우하는) 알고리즘 수식을 공개해야 한다. 책임자도 공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 위원장은 "검색어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국민도 알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포털이) 여론을 왜곡하는 데 쓰여선 안되는다는 게 우리들 생각이다. 국감에서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총선을 겨냥한 '포털 길들이기'가 아니냐는 지적에는 "국민적 관심이 워낙 높기 때문에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이지 총선과는 관계 없다"고 답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김무성, 정책위에 ‘포털 공정성·선정성 대책’ 지시…“길들이기 아냐”
입력 2015-09-09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