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포털 뉴스의 미래에 대해 정치적 논쟁을 배제하고 철저히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공론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포털 정화(淨化)’ 필요성을 재차 거론했다.
인터넷 접속을 위해 거치는 ‘관문(portal)’인 인터넷 포털사이트가 사실상 뉴스편집 기능까지 맡으면서 나타난 왜곡·편향성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겠다는 의지다. 야당은 내년 총선을 앞둔 ‘포털 길들이기’라며 강력 비판했다.
김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언론사보다 훨씬 영향력이 큰 포털이 우리 사회, 특히 젊은 층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라며 “왜곡·편향·과장된 뉴스 등 포털 뉴스의 중립성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포털은 기사의 단순한 전달자 역할을 넘어 가치 판단의 영역인 편집과 배포 기능까지 가졌다.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편향성 문제는 엄중히 다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국민의 80%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젊은 층의 포털 의존도는 절대적”이라며 “포털은 뉴스 구성에서 언론사와 기사를 선택하고 제목까지 수정하는 등 사실상 새로운 유형의 언론으로 기존 언론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포털의 선정적·비윤리적 광고를 비롯한 상업주의, 사생활 침해 등을 언급하면서는 “한계를 넘은 상태”라고 했다.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을 정면 겨냥한 것이다. 김 대표는 “뉴스를 기반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네이버, 다음은 시가총액이 높다”며 “이처럼 큰 권익을 누리는 만큼 사회를 향한 책임도 같이 져야 한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포털사이트 운영사 대표들에 대한 국감 증인 채택도 추진 중이다. 당 정책위는 뉴스배열 방식 등 포털 공정성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선 포털에 ‘좀비 언론’이 상당히 많다고 지적하면서 “너무 편향적”이라고 했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은 내년 선거를 앞두고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인터넷 기사를 통제하겠다는 것이라며 김 대표를 정면 반박했다. 권력기관에 대한 감시와 견제 역할을 하는 언론이 비판적인 기사를 쏟아내는 것은 당연한데, 이를 편향적이라고 봐선 안 된다는 주장이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한 라디오방송에 나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노골적으로 신문, 방송에 이어서 대형 포털사이트 재갈 물리기에 나섰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인터넷 포털, 사회적 책임 공론화해야”…포털 정화, 길들이기? 논란
입력 2015-09-09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