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돌고래호 수사 난항…생존자 조사도 늦어져

입력 2015-09-09 13:17
10명이 숨지고 8명이 실종된 것으로 추정되는 낚싯배 돌고래호(9.77t·해남 선적) 전복 사고를 수사 중인 해경이 승선 명부가 허술하게 작성된 경위 파악에 애를 먹고 있다.

9일 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에 따르면 해경은 현재까지도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는 돌고래호의 실제 승선 인원을 확인하고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돌고래호가 출항 전 제출한 승선 명부에는 22명이 기록돼 있지만 해경 조사 결과 실제 승선 인원은 21명으로 추정된다. 특히 명단에 있는 4명은 실제 승선하지 않은 반면, 명단에 없는 3명이 승선한 사실도 확인됐다.

해경은 이처럼 승선 명부가 허술하게 작성된 경위 파악을 위해 명부를 실제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고(故) 김철수(46) 선장의 부인 이모(42)씨를 전날 불러 조사했다.

하지만 이씨가 “남편이 불러주는 대로 적었을 뿐 자세한 내용은 모른다”고 일관되게 진술,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당시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생존자 3명의 조사도 늦어지고 있다.

해경은 사고 후유증을 앓고 있는 이들이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겨지면 곧바로 조사를 시작한다는 방침이지만, 병실 이동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피해자들의 사인을 둘러싼 해경과 유족 간 대립도 첨예해지고 있다.

피해자들의 명확한 사인을 조사하는 해경은 앞서 김 선장의 시신을 부검, 사인을 익사로 결론지었다.

하지만 유족들은 “피해자들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아 익사했을 가능성보다는 늑장 수색에 따른 저체온증으로 사망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상당수 유족은 명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추가 부검을 요구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부검이 이뤄지더라도 사인이 저체온증이라고 입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저체온증이 사인이라는 점을 직접 입증하려면 시신의 온도가 주변 온도까지 떨어지기 전에 발견해 체온을 측정해야 하는데 이미 그 시점이 지났기 때문이다.

반면 사고 원인과 선체 구조변경 여부 등에 대한 수사는 선체 인양 작업이 시작되면서 활기를 띨 전망이다.

해경과 제주도는 이르면 이날 오후 3시쯤부터 추자도 청도에 뒤집힌 채 결박돼 바다에 잠겨 있는 돌고래호 선체를 인양할 계획이다. 현재 인양 작업에 투입될 150t급 크레인 바지선이 제주 애월항을 출항, 추자도 현장으로 이동 중이다.

선체 인양이 완료되면 돌고래호의 전복 원인이 정체 불상의 물체와 충돌 때문인지, 아니면 너울성 파도에 의한 것인지 등 보다 명확한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월호 사고 때와 같이 돌고래호에서도 복원성 약화를 유발하는 불법 구조변경이 있었는지도 육안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