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호 유가족들이 사고 초기에 구조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저체온증으로 사망했을 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신 부검을 희망했다.
돌고래호 실종·사망자 가족들은 8일 오후 돌고래호 사고 연고자 대기소가 마련된 전남 해남군 다목적생활체육관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해남·완도·진도) 의원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 같은 뜻을 전했다.
최영택 가족대책위원장은 “(사망자 10명 시신 중) 2구가 부산으로 갔고, 나머지 8명의 가족 다수는 부검을 원한다”며 “전복 사고 후 상당수가 몇 시간씩 배에 매달려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만큼 초기에만 발견했으면 10여 명은 더 살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 부분에 가족들이 가장 억울해하고 있다”며 “사고 초기에 구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히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 유가족은 “익사가 아니라 구조가 지연되면서 저체온 증으로 사망했을 것”이라며 명확한 사인 규명을 촉구했다.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은 발생 당시 구조 활동에 참여했다고 해경이 밝힌 경비함 28척의 항해일지와 돌고래호의 항적 관련 자료가 공개되도록 협조해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해양경찰청은 대공업무 등을 이유로 공개를 꺼리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국민안전처를 신설하면서 재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기겠다고 했고, 국민은 믿었다”며 “세월호 참사만큼은 아니지만 국민 18명이 사망·실종하는 큰 사고가 발생, 구조 경위를 제대로 밝혀야 비슷한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해경은 이날 오전 가족들을 상대로 한 브리핑에서 사고 발생 당시 경비함정 출동 상황을 설명했다. 해경에 따르면 5일 오후 10시 25분 제주해양경비안전서(제주서) 300t급 302함이 최초로 현장에 도착한 뒤 제주서 소속 5척이 차례로 투입됐다.
완도에서는 오후 10시 40분 278함을 시작으로 11척, 목포에서는 오후 11시 10분 1006함 등 10척, 창원서와 서귀포에서 1척씩 모두 29척이 출동했다가 1척이 기상악화로 회항해 모두 28척이 수색에 동원됐다.
유가족은 해경이 발표한 시각에 실제 구조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현장 도착에 필요한 2~3시간을 포함하면 초기 구조에 동원된 함정은 많지 않았다고 해경 발표에 의문을 제기했다.
최 위원장은 “방송·언론에서는 경비함정 28척이 현장에서 조명탄을 쏘면서 수색작업을 한 것처럼 포장됐다”며 “실제 수색·구조작업을 벌인 배는 몇 척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해경은 지난 7일 가족 브리핑에서 조명탄을 쏘는 데 필요한 항공기가 기상 탓에 뜨지 못해 사고 직후 조명탄을 활용한 야간수색을 하지 못했다고 시인한 바 있다. 조명탄을 쏜 화면은 방송사 측이 기존 자료를 활용한 것 일뿐 해경이 제공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돌고래호 유가족 시신 부검 희망…저체온증 사망 의혹 제기
입력 2015-09-08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