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청춘을 달리는 그대에게 보내는 희망과 용기의 메시지.”
“청년은 청년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어떠한 제왕보다, 어떠한 부호보다, 청춘이라는 자랑스럽고 눈부시게 빛나는 무대에 선 명배우입니다. 누구에게나 앞길을 가로막는 벽이 있습니다. 그러나 청년이 뛰어넘지 못할 벽 따위는 결코 없습니다. 함께 희망을 만드는 이야기를 시작합시다!” -본문 중에서
전 세계를 무대로 전쟁과 핵 반대 운동을 벌이고 있는 이케다 다이사쿠 박사는 ‘큰마음을 먹고 첫걸음을 내딛는 용기’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청년’이라고 말합니다. 이 책은 청년뿐 아니라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30~40대들도 젊은 시절을 되돌아보고 마음의 청춘을 되찾게 하고 있습니다.
지지 않는 청춘은 1장 ‘청년의 특권’, 2장 ‘자기답게’, 3장 ‘꿈을 향해’, 4장 ‘미래를 위한 제언’ 마지막 5장 ‘내 이력서 중에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장 ‘청년의 특권’은 그 자체로 가장 아름다운 젊음에 대한 예찬입니다. 젊음을 올바르게 보내기 위해서는 남을 돕고 웃게 할 수 있는 배움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고 피력합니다. 지위와 명성, 재산 등으로 자신을 치장하려 하지 말고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춰 사는 인생이 바로 일류라고 말합니다.
2장 ‘자기답게’에서는 진정으로 행복한 사람은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사람이라며 행복에 대한 정의를 내립니다. 젊은이에게 필요한 감사하는 마음, 참된 우정, 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일찍 피는 사람, 늦게 피는 사람 차이는 있어도 자신의 ‘행복의 꽃’을 반드시 피울 수 있다며 청년에게 응원의 말을 전합니다.
3장 ‘꿈을 위해’에서는 과감하게 첫걸음을 내딛는 솔선의 용기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을 연마해야 훌륭한 연애를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젊은 청년이 이 세상의 희망이자 꿈이며 청년이 세계 평화를 이룩하고자 하는 꿈을 꿀 때 세계 평화가 가까워진다며 청년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합니다.
4장 ‘미래를 위한 제언’에서는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법과 예술의 중요성에 대해 말합니다. 이와 더불어 세계 평화에 다가가기 위해 이케다 박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무기에 대한 강한 주장도 담겼습니다. 빈곤 개혁과 유엔 평화 등 범세계적인 과제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마지막 장인 ‘내 이력서 중에서’는 이케다 박사 본인의 이야기를 세세하게 풀어내고 있습니다. 태평양 전쟁을 겪으며 세 명의 형을 사지로 보내야 했던 어린 시절과 전쟁 후의 일본에서 치열하게 살았던 청년 시절, 그리고 그 시절 속에서도 소중한 사람을 만나 사랑을 고백하는 장면, 인생의 스승을 만나고 SGI 제3대 회장이 되는 과정 등 이케다 박사의 일생이 한 편의 소설처럼 쓰여 있습니다.
‘청년이나 소년소녀와 대화하는 것은 실로 생명의 새하얀 캔버스를 마주하는 듯한 일이고, 그것은 자신의 마음을 비치는 거울’이라고 말하는 이케다 박사에게서 인재 육성의 중요성과 청년에게 거는 희망을 엿볼 수 있습니다.
지지 않는 청춘은 이케다 박사가 사랑하는 청년들에게 하고 싶은 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청년이 보내는 시기가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 이 아름다운 시기를 어떻게 하면 올바르고 값지게 보낼 수 있는지에 대해 이케다 박사가 전하는 따뜻한 격려와 응원의 글을 읽으면 긍정적인 시선으로 나 자신과 세상에 대해 바라보게 됩니다.
권남영 기자
신간 이케다 다이사쿠의 ‘지지 않는 청춘’
입력 2015-09-08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