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방문, 남북 경제교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전경련 회장단과 머리를 맞댔다.
지난 2007년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였던 정동영 전 의원이 전경련을 방문한 일은 있지만, 재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던 야당에서 당 대표가 '기업의 대변자'를 자처하는 전경련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표는 간담회에서 "남북경제교류는 진보와 보수를 뛰어넘는 것"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 경제와 통일에 있어 이념논리에 갇히지 않고 대기업과도 과감하게 협력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특히 야당이 국회에서는 기업 총수들의 국감증인 출석을 두고 재계와 대립하고 있지만 장외에서는 기업과 대화하며 그동안의 '반(反)기업 이미지'를 털어내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다.
문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전경련이 제시한 남북경제교류 신5대원칙과 이를 위한 7대 과제에 대해 깊이 공감한다"며 "7대 과제가 현실화되도록 모든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전경련은 지난 7월 정부에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며 ▲남북한 당국 간 대화의 진전과 조화 ▲ 남북 상호이익 ▲ 북한 주도 북한 경제개발 ▲ 남북한 산업 장점 결합 산업구조 구축 ▲ 동북아 경제권 형성을 위한 주변국 참여와 지지 확보 등 5대 원칙을 제시했다.
또 이를 실현할 방안으로 ▲ 남북한 경제단체 상주 연락사무소 설치 ▲ 한반도 서부축 경제협력루트 확보 ▲ 남북 접경지역 경제협력사업 재개 ▲ 남북 경제협력 신규 산업단지 개발 ▲ 북한 기업 살리기 프로젝트 ▲ 북한 산업 기술 인력 양성 ▲ 동북아 다자 경제협력사업 추진 등 경제활성화 등 7대 과제를 내놓았다.
문 대표는 이날 오후 당 한반도 평화·안보 특별위원회 주최로 열린 '한반도신경제지도 구상의 의미와 실천 전략 토론회'에 참석하는 등 북한 군사도발 사태 이후 잠시 중단했던 '경제통일' 후속조치에도 속도를 냈다.
문 대표는 이 자리에서 "우리 당의 정체성은 민주주의, 서민경제, 남북관계에 있다"며 "그 세 가지는 따로 떨어져있는 것이 아니라 삼위일체"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문 대표의 이 같은 행보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정상외교에 힘을 쏟고 있지만, 문 대표 역시 제1 야당 대표로서 대안정당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당내에서는 혁신안을 둘러싸고 계파갈등이 이어지고 있어 문 대표의 '경제통일 드라이브'가 계속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이날 토론회에 주최측인 한반도 안보특위의 박지원 위원장과 최재천 정책위의장이 불참했다.
두 사람 모두 비노진영 인사라는 점에서 이들이 전날 발표된 공천룰을 두고 불거진 친노·비노 갈등 때문에 불참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박 위원장은 그러나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목포대 신해양캠퍼스 준공식이 예정돼 있었는데, 토론회 일정은 하루 전에 통지받아 부득이하게 불참한 것"이라며 "다른 의미를 부여할 일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문 대표의 신경제지도 구상 자체도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정범진 남북경협활성화추진위원회 정책위원장은 "듣기좋은 소리만 나열했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남북경협을 어떻게 활성화 시킬지, 투자의 안전판을 어떻게 확보할지 알 수 없다"며 "아직은 청사진만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남북경제교류, 진보·보수 초월” 문재인, 전경련 첫 방문
입력 2015-09-08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