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0일 금강산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

입력 2015-09-08 15:45
남북이 ‘무박 2일’ 협상 끝에 다음달 20~26일 금강산 면회소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기로 합의했다. 이산가족의 전면적 생사확인 및 정례화 논의를 위한 남북적십자 본회담도 조속히 개최키로 했다.

통일부는 지난 7일부터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진행된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실무접촉에서 양측이 이 같은 내용의 합의문을 채택했다고 8일 밝혔다.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는 건 지난해 2월 이후 1년 8개월만이다. 양측은 이를 위해 오는 15일 이산가족 생사확인 의뢰서를, 다음달 5일에는 결과를 담은 회보서를 교환하기로 했다. 최종 명단은 같은 달 8일 최종 통보된다.

생사확인 의뢰 대상자는 남측 250명, 북측 200명이며 최종 상봉 대상자는 각 100명씩이다. 남측 의뢰 대상자 중 50명은 6·25전쟁 당시 국군포로로 별도 책정됐다. 생존이 확인된 국군포로 이산가족은 무조건 상봉 대상자에 포함된다.

우리 정부가 적극 요구했던 상봉 행사 제도화 논의도 합의문에 반영됐다. 양측은 가까운 시일 내 남북 적십자본회담을 열고 ‘상호 관심사’에 대해 폭넓게 협의키로 했다. 이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생사확인, 서신교환 실시 등 근본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키로 명시한 2013년 8월 실무접촉 합의문에 비해선 한발 후퇴한 것이다.

양측은 상봉 규모와 장소에 대해선 쉽게 의견 접근을 이뤘지만 개최시기를 놓고 견해차를 보였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예상되는 다음달 10일 이전 개최를 요구했다. 하지만 북한은 실무 준비시간이 필요하다며 양해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도화 문제 역시 북한은 아예 논의를 거부했지만 우리 정부의 끈질긴 요구 끝에 일정부분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8·25 합의’의 첫 시험대였던 이산가족 상봉 협상에서 성과를 거두면서 다른 합의사항 이행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다만 행사 개최까진 여러 변수가 아직 많다는 지적이다. 이달 말 유엔총회, 10월 10일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10월 16일 한·미 정상회담 등이 그것이다. 북한은 과거에도 실무 협상에서 합의하고도 상봉 행사 전 이를 뒤집은 적이 적지 않았다.

강준구 문동성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