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난민재정착 프로그램 검토중

입력 2015-09-08 14:46
미 정부가 연간 7만명까지 난민을 수용하는 난민재정착 프로그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사상 초유의 유럽 난민 위기에 미국이 뒷짐을 지고 있다는 비난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화당이 지배하는 미 의회에서 이슬람 난민들을 받아들이기 꺼리는 기류가 강해 실행에 옮겨질지는 미지수다.

피터 부가드 국가안보위원회 대변인은 “미국은 글로벌 난민 위기에 대응해 난민 재정착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대책을 활발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은 7일(현지사간)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익명의 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현재 연간 7만명까지 난민을 수용하는 난민 재정착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2011년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이후 1500명의 난민을 수용했고 내년 중 8000명의 난민을 추가로 받아들이겠다고 밝혔지만 80만명의 난민을 받겠다고 한 독일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수준이다.

미 정부가 난민 수용 확대 계획을 내놓는다 하더라도 실제 이행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공화당을 비롯한 보수파들은 난민 수용이 테러리스트 유입의 통로가 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5월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시리아 난민 6만5000명을 받아들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냈지만 공화당의 반발에 부닥쳐 무산됐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