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북 도발 대비해 주민대피시설 전면 개선한다

입력 2015-09-07 17:44
경기도는 최근 발생한 북한의 연천 포격 사건 등 제2의 국지도발에 대비키 위해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에 대한 전면적 개선에 나선다.

7일 도에 따르면 도내 정부지원 대피시설은 55곳으로 이들 모두 1일 미만의 단기 긴급대피용이어서 지난달 북한의 포격 도발로 주민들이 대피한 뒤 이틀 넘게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서 전면적인 개선이 요구돼 왔다.

이에 도는 연내에 민간인출입통제선 이북 지역 및 주민 대피가 빈번히 이뤄지는 18곳을 중점관리시설로 지정키로 했다.

중점관리시설 18곳은 김포 10곳, 파주 3곳, 연천 5곳이며 각 시·군에서 관리할 37곳은 고양 1곳 김포 8곳, 파주 11곳, 양주 3곳, 포천 7곳, 연천 7곳이다.

이번 조치에 따라 18곳의 중점관리시설은 단기대피 용도에서 2일 이상 중장기 대피 용도로 전환되며 필수시설인 자가 발전기, 비상급수시설, 화장실, 샤워실 등을 설치하고 TV, 전화기, 제습기, 인터넷 등 생활 편의시설이 보강한다.

각 시·군에서 관리하는 37곳의 경우 도가 시설 운영에 필요한 전기요금 등 관리비를 해당 지자체에 지원한다.

한편 도는 지난달 24~25일 고양, 포천, 김포, 파주, 연천, 양주 등 6개 시·군의 정부지원 대피시설을 대상으로 국민안전처와 합동으로 표본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의정부=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