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7일 내년 총선을 위한 당내 경선에서 선거인단을 일반국민 100%로 구성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공천 혁신안을 발표했다. 주류·비주류 진영의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혁신위활동을 놓고선 지도부 공개회의에서 공방이 오고가는 등 하루가 다르게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총선 경선 선거인단 100% 일반 국민, 엇갈리는 찬반=혁신안은 우선 내년 총선 경선에 참여할 선거인단을 100% 일반국민으로 구성키로 했다. 현재 국민 60%, 권리당원 40%에서 국민 100%로 바꾼 것이다. 다만 현재 국회 정치개혁특위를 통과한 안심번호 제도가 도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국민 70%, 권리 당원 30%를 반영키로 했다. 안심번호는 당내 경선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할 때 휴대전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드러나지 않게 임의의 전화번호를 부여하는 제도다. 혁신안은 ARS와 현장투표를 혼합해 경선을 실시하고,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때 1~2위를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거치도록 했다.
‘국민 100% 경선’은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오픈 프라이머리는 지지 정당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면 국민 100% 경선은 사전에 지역구별로 새누리당 지지자를 제외한 300~1000명의 선거인단을 꾸린 뒤 후보자 간 연설·토론회 등을 듣고 투표하는 방식이다.
혁신위는 후보 난립 시에는 5배수로 압축한 뒤 경선을 실시토록 했다. 정치 신인에게는 10%, 여성·장애인에게는 25%(현행 20%)의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또 전략공천을 위해 외부인사가 50% 이상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토록 했다. 비례대표 역시 별도 심사위원회를 꾸리고 여성 당선우선권 배정비율을 현행 50%에서 60%로 높였다.
문재인 대표 등 주류 진영에서는 이번 혁신안에 대해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라는 원칙에서 보면 국민 참여비율을 100%로 한 것은 옳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주류 진영에서는 “정당의 풀뿌리이자 근간인 당원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불만이 터뜨리고 있다. 한 당 관계자는 “권리당원에게 당비만 받고, 당헌이 보장하는 선거권은 주지 않겠다는 것 자체가 위법적 발상”이라며 “국민참여 경선이 동원 경선으로 치러지는 실상을 무시한 채 ‘국민이 공천한다’는 이상론에만 치우친 방안”이라고 비판했다. 당 외곽에 지지 세력이 많은 ‘친노(친노무현)’ 진영에게 매우 유리한 혁신안이라는 평가다.
◇혁신위 두고 지도부 내 설전=당 지도부 회의에서는 혁신위의 활동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졌다.
먼저 문 대표는 “기득권을 포기하고 낡은 과거와 결별하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혁신위 활동에 힘을 실어줬다. 그러자 곧바로 비주류인 주승용 최고위원은 전날 나온 안철수 의원의 혁신위 비판에 가세했다. 주 최고위원은 “전직 대표들의 충정에 극언을 서슴지 않는 태도는 혁신에 도움이 안 된다”며 “더 큰 혁신을 위해 혁신위에 전권을 위임한 것이지 권력투쟁을 하라고 권한을 맡긴 것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주류·비주류 진영의 신경전도 점차 노골적으로 변하는 모습이다. 주류인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CBS라디오에 나와 김한길·박지원 의원을 겨냥해 “(당권과 공천권 때문에 혁신위를 비판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또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SBS라디오에서 최 본부장을 겨냥해 “제가 혁신위에 반대한 적이 없다. 옳지 않은 태도”라며 “친노 일부에서 이간질하고 분리책을 쓰려 하고 있다”고 재반격했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혁신위 공천 혁신안 발표…엇갈린 반응 속 찬반 갈등 고조
입력 2015-09-07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