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원유수출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가격 하락으로 심각한 재정난에 몰리고 있다. 국제 원유가가 1년 새 절반 이하인 배럴당 50달러 아래로 추락, 정부 재정 수입이 급감하면서다. 여러 산유국도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사우디가 저유가 속에서도 점유율을 늘리겠다며 증산을 주도했고, 저유가가 장기화되면서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이브라힘 알 아사프 재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CNBC아라비아 방송과 가진 인터뷰에서 “정부 재정 지출을 추가로 줄이고 국채 발행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정 지출 감축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교육·보건·인프라 등 핵심 지출 분야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사프 장관은 “정부는 예산 부족을 메우기 위해 전통적인 국채와 수쿠크(이슬람 채권)도 추가로 발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사우디 정부는 지난 7월 2007년 이후 처음으로 40억 달러(약 4조8100억원) 규모의 국채를 발행한 바 있다. 당시 사우디는 재정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국채를 270억 달러(약 32조4900억원) 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사우디 국채 발행규모가 기록적인 1300억 달러(약 156조4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MF는 또 사우디의 올해 재정 적자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20%에 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달 사우디가 재정 균형을 맞추려면 유가 수준이 배럴당 105달러는 돼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사우디는 지난해 국제 유가 급락세가 본격화한 이후 정부지출을 유지하기 위해 외환보유고에서 이미 650억 달러(약 78조2000억원)를 축냈다.
러시아와 베네수엘라 등 다른 주요 산유국의 재정 상황도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특히 베네수엘라는 내년에 국가부도가 불가피하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국제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는 지난 1월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투자부적격 등급으로 강등했다.
배병우 선임기자 bwbae@kmib.co.kr
사우디 등 산유국 심각한 재정난에
입력 2015-09-07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