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유사축제 통폐합해 예산 절감…축제 평가작업 돌입

입력 2015-09-07 16:27
경남도는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유사 축제 통·폐합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는 도내 축제에 대한 평가작업을 강화한다고 7일 밝혔다.

부실한 축제 콘텐츠와 전시성 행사 등으로 경제적 효과가 떨어지고 예산만 낭비한다는 지적에도 축제성 경비가 줄어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경남도는 설명했다.

도는 지역 축제에 대해서는 투 트랙(Two-Track) 정책을 적용할 방침이다.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관람객의 호응도가 떨어지는 축제는 통·폐합을 추진하고 우수 축제는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축제 내실화를 위해 시·군 의견을 수렴, 축제 감축을 유도한다.

특히 모든 축제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국비·도비 의존도를 줄이고 순수 수익으로 축제를 개최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핵심 프로그램에 대한 유료화 콘텐츠 개발, 지역특산물 판매 수익 등 수익창출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다. 도는 올해부터 추진되는 진주 유등축제 유료화 정책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동찬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지방 재정 건전화와 우수 축제 육성을 위해서는 기존 축제 중에서 옥석을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민간 전문가를 선정하여 지역 축제 평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도는 무분별한 축제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2017년 열릴 예정이었던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와 합천 대장경 세계문화축전에 대한 예산 지원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 두 축제에 2013년 한해 예산만 705억원이나 들었다. 이 중 도비도 200억원이 넘게 들어갔다.

2013년 70개나 되던 축제를 지난해 57개로 줄였고, 올해도 지난해 57개 축제 중 14개를 감축해 43개 축제로 슬림화했다. 최근 3년간 27개의 축제를 통·폐합해 절감된 예산이 25억원 가량 된다.

올해부터 통·폐합된 축제는 창원시의 주남 저수지 철새축제(폐지), 사천시의 사천 세계타악축제(폐지), 고성 공룡나라축제(폐지), 함안수박축제(함안 군민의날 아라제 통합) 등이다.

한편 행정자치부는 지난 4일 앞으로 보통교부세 지급 시 행사·축제성 경비 절감을 위한 자체 노력 반영비율을 현행 50%에서 100%로 두 배로 확대하기로 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