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 아디다스, 컨버스 등 유명 브랜드 의류·가방·신발의 ‘짝퉁’이나 도난상품 등을 정상 병행수입 제품인 것처럼 수입해 소셜커머스에서 팔아치운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 송파경찰서는 7일 베트남 등 동남아에서 ‘짝퉁’이나 출처가 불분명한 유명 브랜드 의류와 가방 등을 들여와 보관·판매한 혐의(상표법 위반)로 이모(31)씨 등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2011년부터 최근까지 짝퉁 의류와 가방, 신발 등 80억원 어치(정품 시가)를 해외에서 들여와 유명 소셜커머스와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판매해 40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 이들은 베트남 등에 있는 정품 생산 공장에서 초과 생산돼 폐기될 예정이던 정품이나 도난 상품, 짝퉁 등을 현지 브로커를 통해 정식 병행수입 제품인 양 국내로 들여와 판매했다.
제품을 선적한 나라가 홍콩이나 싱가포르, 미국이면 세관 통과가 비교적 쉽다는 점을 악용해 물건을 동남아에서 제3국으로 옮긴 뒤 선적지를 바꿨다. 수입품 선적지가 홍콩 등지면 통관 심사를 할 때 전체 제품 중 1∼2점만 표본으로 추출해 검사한다는 점을 노린 것이다.
제품을 판매할 때는 관세청장 직인을 마음대로 찍어 만든 ‘해외브랜드 정식수입 확인서’라는 유령 문서도 내세워 소비자들을 안심시켰다.
경찰은 동남아를 무대로 활동하면서 이씨 일당 같은 국내 판매 업자들에게 짝퉁을 공급한 브로커 김모(41)씨 등 2명의 뒤를 쫓고 있다. 또 사무실과 창고 등에 보관하고 있던 정품 시가 20억원 상당의 짝퉁 2300여점을 압수했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소셜커머스에서 산 나이키, 아디다스, 컨버스가 짝퉁?
입력 2015-09-07 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