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은 집권 후반기를 맞아 ‘통일’과 ‘평화’를 키워드로 한 대외행보에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2월 박 대통령의 이른바 ‘통일대박론’ 천명 이후 한동안 정체됐던 관련 논의를 미국과 중국 등 한반도 주변국들과 진행하면서 지지를 얻는 수순이다. 특히 박 대통령의 ‘통일’을 매개로 한 외교행보는 다음달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과 10월말~11월초 열릴 것으로 보이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이어지는 다자정상 외교무대에서도 계속될 전망이다.
우선 박 대통령이 강조한 한반도 평화통일 논의의 1차 파트너는 중국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귀국길 전용기 내 기자간담회에서 “(중국과)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반도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뤄 나갈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국가인 중국을 상대로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터 닦기’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이런 측면에서 북한의 태도 변화 등을 이끌 한·중 대화채널 역시 앞으로 활성화될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새로운 채널보다는 기존에 있는 다양한 경로들을 통해 자주 관련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 간 4개 전략대화채널은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대화, 2+2(한·중 외교부와 국방부 국장·부국장급) 외교안보대화, 국책연구기관 합동전략대화, 정당 간 정책대화 등이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간 대화 채널은 2013년 6월 박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신설된 이후 그해 11월 서울에서 한 차례 열린바 있다.
박 대통령이 10월 중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진행할 한·미 정상회담도 한반도 통일 논의의 중요한 장이 될 예정이다. 한·미동맹 강화는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변화 등이 핵심의제인 만큼 통일 논의는 자연스럽게 다뤄질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은 하반기 이어지는 다자정상회의를 통해 한반도 통일이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해당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까지 상당하다는 점을 핵심 논리로 삼아 향후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펼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앞서 “앞으로 외교력을 발휘해서 이제 우리 평화통일에 어떤 의미가 있고 세계 평화와 안정에도 어떤 좋은 점이 있을지를 자꾸 설명해나가면서 동의를 받는 노력을 앞으로 잘해나갔으면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이슈분석]박대통령, '통일' '평화 키워드로 하반기 외교행보 주력
입력 2015-09-06 15:50